안녕하세요 Plasma를 이용하여 ALD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어느 순간부터 plasma를 발생시키게 되었을 때 처음 발생시킬 때에는 플라즈마 빛의 세기도 매우 강하고 잘 생성이 된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그 이후로 발생시킬 때는 플라즈마의 색깔도 조금 변하고 세기가 많이 약해집니다.

 

NH3, N2 plasma를 최근 이용하였을 때 계속해서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혹시 원인을 알고 계셔서 알려주신다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아님 개인적인 소견이라도 말씀해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ㅠㅠ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79] 7706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38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29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4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842
164 화장품 원료의 플라즈마 처리 문의 [1] file 192
163 Compressive한 Wafer에 대한 질문 [1] 242
162 [재질문]에칭에 필요한 플라즈마 가스 [1] 679
161 Ashing 공정에 필요한 O2 plasma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1480
160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 반응 메커니즘 [1] 295
159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373
» PEALD 장비에 관해서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1] 413
157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634
156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1074
155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376
154 기판표면 번개모양 불량발생 [1] 622
153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28979
152 O2 플라즈마 사용에 대한 질문을 드립니다. 745
151 Ta deposition시 DC Source Sputtreing 2363
150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1001
149 RF Sputtering Target Issue [2] file 622
148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1929
147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file 560
146 Polymer Temp Etch [1] 693
145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50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