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Sputter Process 에 대해 담당중인 1인 입니다.

몇가지 문의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1.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의 반응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주로 O2, N2, CH4, NO 등등의 반응성 Gas 를 사용하여 막질의 변형을 이루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Gas 들의 반응에 대하여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반응들이 일어나는 Mechanism 을 알 수 있다면 막질에 대해 좀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지 않을까요?

2. 현재 Glass 기판에 Sputter 증착을 한 후 SEM 으로 관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박막 표면에서의 Charging 현상이 덜 하여 관찰이 가능한 샘플이 있는 반면,

   일부는 Charging 현상이 심하여 SEM 으로는 관찰이 어렵습니다.(Gas 종은 위의 Gas 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판 표면을 SEM 으로 관찰하고자 할 때, 이러한 Charging 현상을 감소 시킬 수 있는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어떤 Parameter 들의 영향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82] 7720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46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360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89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945
243 remote plasma에 대해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1] 22298
242 cross section 질문 [1] 19733
241 [Sputter Forward,Reflect Power] [1] 30902
240 RF Power에 따라 전자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1] 17771
239 ICP 플라즈마 매칭 문의 [2] 21215
238 ICP Source에서 RF Source Power에 따른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 문의 [1] 24789
237 [질문] Plasma density 측정 방법 [1] 22716
236 [질문] 석영 parts로인한 특성 이상 [1] 19849
235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20317
234 RF Plasma(PECVD) 관련 질문드립니다. 31704
233 [질문] ICP plasma 를 이용하여 증착에 사용하고 있는데요. [3] 24387
232 HVDC Current '0'으로 떨어지고, RF Bias Reflect (RF matching이 깨지는 현상) 발생 23350
231 안녕하세요. O2 Plasma 관련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22957
230 대기압 플라즈마 40723
229 반도체 관련 질문입니다. 28582
228 안녕하세요. RF Ma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47974
»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2022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