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glow discharge DC glow discharge
2004.06.19 16:38
DC glow는 음극과(negative electrode) 양극(positive electrode)의 전극에 DC 전압을 인가하여 형성된 전기장에서 가속된 전자들이 공간내 기체 분자나 원자들을 이온화 하여 플라즈마가 형성되게 됩니다. 공간 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면 전자들은 쉽게 양 전극(positive electrode)으로 흘러들어 가게 되고 이온은 질량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음 전극으로 쉽게 흘러들어 가게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음극과 양 전극 근방에서 일어나는 상황이 서로 대칭적이지 않습니다. 결국 음극 근방에서 형성된 전위 차가 커서 큰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결과로 이온이 가속되게 되는데 이때 음극에 형성괸 전위분포를 음극 전압강하라 합니다. 이 현상은 음극에 형성된 sheath현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이 곳은 플라즈마 반응기 내에서 가장 전기장의 세기가 강한 곳으로 전기장의 방향은 음극판을 향합니다. 이 전기장으로부터 가속된 높은 에너지를 가진 이온이 음극 판에 입사하고 음극 표면과 충돌해서 방출되는 전자, 즉 이차전자들은 이 전기장으로부터 가속되면서 반응기 중심부로 날아가게 되고 이들은 다시 공간 내 이온화 반응에 기여함으로써 플라즈마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음극에서의 전압강하는 플라즈마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양극쪽에서는 미약한 전압강하 부분이 있기는 합니다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크기는 크지 않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지 않습니다. DC 방전에서 음극 전압강하, 음극 전압강하영역의 거리, 음극의 재질이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알수 있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 75752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3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6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997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218 |
57 | [Q]플라즈마 생성위한 자유전자라는게 뭐죠? | 19240 |
56 | 형광등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 | 18509 |
55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 17500 |
54 | Noise 문제, 탐침에 의한 식각 플라즈마의.. | 19638 |
53 | self bias [1] | 19349 |
52 | rotational vibration excitation | 18146 |
51 | 플라즈마 matching | 20095 |
50 | DBD란 | 27527 |
49 | ccp-icp | 21219 |
48 | 플라즈마의 상태 | 14031 |
47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8050 |
46 | 충돌 | 17637 |
45 | 유전체 플라즈마 | 17489 |
44 | sputtering | 18255 |
43 | 증착에 대하여... | 18054 |
42 | nodule의 형성원인 | 16688 |
41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326 |
40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015 |
39 |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 29365 |
38 | CCP의 Vp가 ICP의 Vp보다 높은 이유 | 199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