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021.08.17 06:51
안녕하세요. 반도체 회사 재직중인 엔지니어 입니다.
질문에 앞서서 항상 정성스러운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는 wafer의 적층을 하는 PKG 부서에 있으며 wafer간의 부착과 탈착을 함에 있어
그 사이에 Deposition을 하게 되고 탈착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려면 막질의 적당한 hardness가 중요한 공정입니다.
막질의 hardness를 측정하기 위해서 Deposition후 wet clean을 하여 etch amount를 측정하는데
chamber의 pm을 변경점으로 wafer의 wet etch 후 center 부분만 막질이 거의 사라져서 막질에
구멍이 난것처럼 보이는(막질 색이 거의 없어지고 wafer Si의 색만 남음)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약 센터처인트200A정도만 etch되었었는데 현재는 1000A이상 etching됨)
RF Plasma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점검해본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Heater의 tilt확인 및 shower head와의 gap 최적화 > 현상동일
2. shower head 교체 > 현상동일
3. Heater unit 재장착 > 현상동일
4. Power가 약해 막질이 약해졌을거라 추정하여 RF Generator RF PWR 실계측 시 양호
5. Generator가 정확히 RF를 쏴주지만 matcher가 챔버로 파워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할거라 추정하여 matcher swap -> swap 후에도 현상동일
6. RF ROD Swap > 현상동일
게시글들을 살펴봤을때 Plasma의 밀도는 확산에 의해 분포하므로 중앙에서 가장 높다고 하니
단편적으로 생각하면center 영역에서의 막질이 더욱 단단하고 멀어질수록 무를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질이 약해져 wet etch 후 ER이 wafer center 부분만 높아진 현상 관련 추가적으로 점검해야할 point가 어떤것이 있을까요...?
또한 막질의 단단하고 약한정도에 영향을 주는 Factor는 어떤것을이 있을까요?
RF 및 Plasma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교수님 도움을 얻고자합니다.
참고로 해당 공정은 상온(25도)에서 진행되며 약 200W 정도의 약한 전력을 사용합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5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3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11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65 |
566 | 플라즈마 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1] | 793 |
565 | RF 반사파와 이물과의 관계 [1] | 800 |
564 | Uniformity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 805 |
563 | Plasma Generator 관련해서요. [1] | 808 |
562 | RF Power 인가 시 Gas Ramping Flow 이유 [1] | 811 |
561 | Tungsten 표면 Contamination 제거(실명재등록) [1] | 814 |
560 | O2 Plasma 에칭 실험이요 [1] | 822 |
559 |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 822 |
558 | 전자 온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824 |
557 | 상압플라즈마 제품 원리 질문드립니다 [2] | 825 |
556 | HEATER 교체 이후 SELF BIAS 상승관련 문의 [1] | 835 |
555 | 진학으로 고민이 있습니다. [2] | 836 |
554 | Dechucking과 He gas의 관계 질문입니다. [1] | 839 |
553 | 플라즈마 주파수 예측관련 질문드립니다 [1] | 840 |
552 |
langmuir probe관련하여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 ![]() | 843 |
551 | 플라즈마 챔버 [2] | 843 |
550 | 고진공 만드는방법. [1] | 851 |
549 | Decoupled Plasma 관련 질문입니다. [1] | 854 |
548 |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 854 |
547 | standing wave effect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8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