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018.12.20 15:38
안녕하세요 전기분해 염소발생기 업체에서 근무중인 직장인 입니다.
전극 내구성 test를 위해 1*1cm 전극 시험편을 제작 하였습니다.
극간거리는 3mm, 인가전류는 5A 입니다.
반응면적 외 엣지부, 뒷편은 에폭시 접착제로 실링 해 두었습니다. (사진 첨부)
해당 시편을 준비 한 후, 전류를 인가 하니 스파크가 발생하며 엣지부 에폭시가 타 들어감을 확인 했습니다.
추정하기론, 엣지부가 전류밀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으며, 완벽하게 실링되지 않은 부분에 전류밀도가 몰리고,
그로 인해 열이 발생해 스파크 발생이 생겼을것이라 추정하는데 (기포 내 스파크)
해당부분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거나, 잘 알고계신분의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엣지부 에폭시를 제거 후엔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1. 엣지부 에폭시 접착제에 의한 스파크 발생원인은 무엇인지?
2. 에폭시가 아닌, 스케일 발생에도 스파크가 발생 할 것인지?
에 대해서 여쭈어 봅니다.
시편사진은 첨부 하도록 하겠습니다.
부디 좋은 의견을 많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2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1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69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26 |
686 |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 279 |
685 |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 281 |
684 |
RF Sputtering Target Issue
[2] ![]() | 282 |
683 |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 | 287 |
682 | Polymer Temp Etch [1] | 291 |
681 |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 | 298 |
680 |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 311 |
679 | OES를 이용한 Gas Species 정량적 분석 방법 [1] | 312 |
678 |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1] | 314 |
677 |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 315 |
676 | Chamber impedance 범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323 |
» |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 | 327 |
674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327 |
673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332 |
672 |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 | 337 |
671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343 |
670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343 |
669 |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 348 |
668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362 |
667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363 |
플라즈마 방전기에서 플라즈마와 대면하는 전극에는 플라즈마의 전자 및 이온들, 즉 전하가 빠져나가는 통로입니다. 물론 이 전극을 통해서 전력이 인가되기도 하여, 전류 흐름이 빈번한 곳이라 생각하면 좋습니다. 전류가 흐르면 전극은 가열이 되니, 플라즈마 밀도가 높아지는 방전에서는 전극의 온도는 매우 높게 올라 가게 되겠습니다. 따라서 고밀도 방전, 혹은 방전 전류에 의한 가열이 충분히 냉각될 조건이 아니라면 열에 약한 에폭시 사용은 금물입니다. 게다가 에폭시에서는 여러가지 화학물질들이 발생되어 주변의 가스에 분순물을 증가시켜 플라즈마 방전 자체에 변화가 크게 줍니다. 대부분 국부적 스트리머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지속되는 경우 전극 엣지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ceramic powder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