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Discharge Plasma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2022.08.03 16:16
안녕하세요,
플라즈마를 방전시킨 방전수에 활성화된 다양한 산소 및 질소 활성종의 정량 분석을 하고자 합니다.
그 중, 과산화수소의 정량 분석을 위해 hydrogen peroxide assay kit 을 구매를 했는데, 분석 시 시료의 적정 ph가 7~8 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저의 시료인 방전수는 ph가 2.6 정도로 산성이라 완충용액을 이용해 ph를 높여야 하는 상황입니다.
질문은 두 가지 입니다.
1. kit 에 동봉되어 있는 buffer solution 의 ph는 7.4 인데, 이를 이용해 ph 를 높인다면 엄청난 양을 사용해야하는데, 그렇다면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습니다. 혹시 추천하시는 방법이 있으신지 여쭤봅니다.
2. 플라즈마 방전을 시키게되면 시료에는 산소 및 질소 이온과 라디칼이 있는 풍부한 상태인데, 수산화기를 포함한 buffer 를 사용한다면 이들과 반응해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영향이 없을지 여쭤봅니다.
혹여 답변을 해주시기 힘드시면 관련 분야를 연구하시는 전문가 분을 소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3] | 5833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28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125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450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119 |
38 | 플라즈마 챔버 의 임피던스 관련 [2] | 26874 |
37 | sheath와 debye shielding에 관하여 | 26992 |
36 | DBD란 | 27036 |
35 | 플라즈마 상태와 RF MATCHING관계 문의 사항 | 27159 |
34 | 탐침법 | 27275 |
33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관계 | 27472 |
32 | Arcing [1] | 27561 |
31 | esc란? | 27718 |
30 | [Sputter Forward,Reflect Power] [1] | 28374 |
29 | 반도체 관련 질문입니다. | 28493 |
28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 | 28532 |
27 | RF에 대하여... | 28636 |
26 | 플라즈마 밀도 | 29107 |
25 | PECVD에서 플라즈마 damage가 발생 조건 | 29230 |
24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립니다.
![]() | 29271 |
23 | 물질내에서 전하의 이동시간 | 29308 |
22 | matching box에 관한 질문 [1] | 29312 |
21 | DC Bias Vs Self bias [5] | 30733 |
20 | ICP 플라즈마에 관해서 [2] | 30998 |
19 | RF Plasma(PECVD) 관련 질문드립니다. | 31152 |
해당 주제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의 플라즈마 응용기술 내 '미래선도 플라즈마 농식품 융합 기술 개발 연구'팀에 문의 드려 보시기 바랍니다. 조언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