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제가 현재 PECVD-CCP장비의 공정 Test를 하던 중

VHF(27M) Power를 점점 늘려감에 따라 Deposition Rate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문의드립니다.

원인을 찾던 중. 발견한 논문에 따르면 어느정도 증가하다가 2차포물선 그래프를 띄며 Deposition이 감소하는데

이는 초기 증가분은 라디칼을 많이 생성해서 D/R을 상승시키지만 어느정도 증가하게 되면 Ion Bombardment가 커져서 그런 현상이 생긴다고 작성되어 있는데, 이해가 잘 안되서요.

제가 알고 있는 짧은 지식으로는 Power가 커지면 Density가 늘어나면서 Sheath영역이 작아지게 되는것 같은데 아닌가요??

 

Generally, the ion bombardment energy increases witIr"an increase in rf power because the sheath electric field increases as the
square root of the rfpower density.

라고 써있는데, 영문으로 작성된 이 내용이 정말 일반적인 내용인지..제가 이해를 잘 못한건지 궁금합니다.

또한 cathode와 wall 사이에 reactant gases가 고갈된다고 하는데. 너무 논문에서 당연한듯 이야기 해서 이유가 궁금합니다. 

In addition the depletion of reactant gases by the plasma between cathode and reactor wall is also regarded as a factor for the low deposition rate observed at high rf power.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7308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4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2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739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110
347 CCP 구조가 ICP 구조보다 Arcing 발생에 더 취약한가요? [3] 2791
346 챔버내 Arcing 발생 개선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2765
345 Gas 별 Plasma 색 관련 질문입니다. [1] 2749
344 CCP/ICP 의 플라즈마 밀도/균일도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2674
343 electron energy distribution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2645
342 진공장치 챔버내 산소 또는 수분 제거 방법에 대해 [1] 2636
341 HF/F2와 silica 글래스 에칭율 자료가 있을까요? 2608
340 플라즈마 압력에 대하여 [1] 2579
339 dry etching중 온도, 진공도, glass상태에 따라 chucking force가 변화하는지요? [1] 2541
338 PR wafer seasoning [1] 2520
» HF+LF 사용 중. HF Power 증가 시 Deposition Rate 감소 현상 문의 [1] 2506
336 산소양이온의 금속 전극 충돌 현상 [1] 2487
335 plasma sheath 두께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2484
334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481
333 VI sensor를 활용한 진단 방법 [2] 2476
332 플라즈마 임피던스와 Vpp가 관련이 있나요? [1] 2469
331 Deposition 진행 중 matcher(shunt,series) 관계 질문 [3] 2357
330 Edge ring 없이 ESC를 구현 가능한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 2352
329 Plasma etcher particle 원인 [1] 2330
328 임피던스 매칭회로 [1] file 232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