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 Plasma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2004.06.21 15:34
질문 ::
플라즈마를 상압상태정도의 고압으로 올려서 사용하게 될 경우
이온의 온도가 올라가 플라즈마가 기판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방안이나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얻고 싶습니다.
답변 ::
매우 어려운 문제입니다. 저희도 유사한 문제에서 많은 고민을 합니다만 현재 사용하는 장치의 개요가 없는
상태에서는 무어라 답변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단 기판에 damage가 플라즈마 이온의 온도에 대한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이온 보다는 대기압 정도의 고압에서 가열된 중성개스 입자에 의한 영향을 생각합니다. 만일 이온에 의한
영향이라면 이온 표면까지 도달하기 힘든 조건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이 방법으로는 전기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나 쉽지 않겠지요, 혹은 충돌성이 높음으로 이온으로 존재하는 거리가 짧을 것입니다.
따라서 충분히 플라즈마 소스로 부터 거리를 멀리하여 해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좀더 자세한 논의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요구됩니다. 위의 사항을 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79] | 7488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736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22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68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015 |
598 |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 20400 |
597 | Langmuir probe tip 재료 | 20311 |
596 |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 20296 |
595 |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1] | 20280 |
594 |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 20195 |
593 | 안녕하세요. GS플라텍 지성훈입니다. [1] | 20176 |
592 |
CCP형, 진공챔버 내에서의 플라즈마...
[1] ![]() | 20170 |
591 |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20115 |
590 | DBD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 20115 |
589 | 형광등과 플라즈마 | 20105 |
588 | CCP의 Vp가 ICP의 Vp보다 높은 이유 | 19895 |
587 | 플라즈마 matching | 19892 |
586 | 석영이 사용되는 이유? [1] | 19777 |
585 | 플라즈마 진동수와 전자온도 | 19740 |
584 | [질문] 석영 parts로인한 특성 이상 [1] | 19737 |
583 | PM을 한번 하시죠 | 19674 |
» |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 19657 |
581 |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 19656 |
580 | 대기압 상태의 플라즈마 측정 | 19652 |
579 | 에쳐장비HF/LF 그라운드 관련 [1] | 196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