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2021.07.09 14:56
안녕하세요. 반도체 관련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현재 공정이 완료된 텅스텐 재료에 대기압 플라즈마를 가하여 정전기 제거를 하고있습니다.
Ar gas를 이용하였으며 정전기 측정장비로 제거 되는 것 까지는 확인 되었습니다.
추가로 여쭤보고 싶은 부분이 정전기 제거 후에도 반영구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도 확인이 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를 찾아보아도 나오는 부분이 거의 없어서요.
O, N 라디칼들이 계면에서 어떠한 에너지 반응을 일으키는 건지. 텅스텐 표면에 어떤 결합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플라즈마를 통하여 정전기 방지가 유지되는 것이 어떠한 Process로 진행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고견 여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 75750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3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6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99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215 |
67 | RF tune position 과 Vrms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 902 |
66 | 3-body recombination 관련 문의드립니다. [2] | 872 |
65 | 문의 드립니다. [1] | 830 |
64 | RF MATCHING 관련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1] | 816 |
63 |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 797 |
62 | 플라즈마 장치 관련 기초적 질문입니다. [1] | 796 |
61 | 안녕하세요 플라즈마의 원초적인 개념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 780 |
60 | 플라즈마 충격파 질문 [1] | 767 |
59 | Collisional mean free path 문의... [1] | 739 |
58 | 플라즈마용사코팅에서의 carrier gas [1] | 728 |
57 | 플라즈마 용어 질문드립니다 [1] | 713 |
56 |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 695 |
55 | 코로나 전류가 0가까이 떨어지는 현상 [1] | 688 |
54 |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 687 |
53 | Ion과 Radical의 이동 거리 및 거리에 따른 농도와 증착 품질 관련 [1] | 663 |
52 |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기체분자종에 따른 기판charing정도차이 문의 [1] | 653 |
51 |
Hollow Cathode glow Discharge 실험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1] ![]() | 641 |
» |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 636 |
49 | RF magnetron sputtering시 플라즈마 off현상 [1] | 611 |
48 | 플라즈마 진단 공부중 질문 [1] | 601 |
플라즈마에서 가속 이온이 제공되고, 이로 인해 dangling bond 들이 많아지는 것을 가정해 볼 수 있겠습니다. 동시에 전자들도 입사되므로, 각 bond에 전하가 붙게 되고, 또한 radical 들도 결합이 되게 될 것입니다. 주로 산소와 질소 라디컬들이 잘 결합하겠습니다. 하지만
각 반응의 상수와 결합 과정 및 그 결합이 얼마나 강력한가, 즉 후속 반응이 존재하는 경우 잘 견딜 것인가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표면 과학을 전공하시는 분이 답을 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표면으로 전달되는 항목으로는
전자, 이온 (질량과 에너지), 화학 반응(라디컬) 과 UV가 동시에 제공됨을 참고하시고, 표면 반응 자료를 찾아 보시기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