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P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2016.12.15 13:35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CCP는 두 전극사이에서 플라즈마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만약 두 전극 사이에 유전체가 속해진다면, 이 유전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http://plasma.ee.pusan.ac.kr/xe/sou
위의 사이트에서 보니깐 CCP에 유전체가 원래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웹에서 다른 내용을 보면 유전체 이야기는 없는, 단지 두 개의 평행한 전극만 이야기하는 내용도 있어서 궁금해서 글을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88] | 267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388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4981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175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0437 |
69 |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 1696 |
68 | 가입인사드립니다. [1] | 1773 |
67 | CCP/ICP 의 플라즈마 밀도/균일도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 1891 |
66 | 수소 플라즈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 | 1905 |
65 |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2] | 1927 |
64 | CCP 구조가 ICP 구조보다 Arcing 발생에 더 취약한가요? [3] | 2182 |
63 | 플라즈마 밀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 2292 |
62 | RF plasma 증착 시 arc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2505 |
61 | RPSC 관련 질문입니다. [2] | 2510 |
60 | PP & PET 친수성과 접착성 유지 질문입니다. [1] | 2753 |
59 |
코로나방전, 이온풍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 | 4513 |
58 | Arcing(아킹) 현상 및 local plasma 관련 문의 [1] | 4635 |
57 | 저온 플라즈마에 관해서 [1] | 5874 |
56 |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2] | 6165 |
55 | 액체 안에서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6298 |
» |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1] | 7185 |
53 |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1] | 7770 |
52 |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1] | 7867 |
51 |
N2 환경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8196 |
50 | 수중플라즈마에 대해 [1] | 8259 |
CCP 방전은 전극 사이에 플라즈마 유전체가 놓여 있는 형태로 방전이 전극의 전기장에 의해 유지되는장치 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라도 이해하시고, 전극의 재료와 방전조건에 따라서 유전체를 강조하는 유전체 격벽 방전(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가 있고, 공정용CCP 장치등이 있습니다. CCP와DBD는 여러차례 소개가 되었으니 게시판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