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floating substrate 에서 sheath 형성 과정 의문점
2008.10.26 11:30
안녕하십니까? 반도체 제조업에 종사하는 엔지니어입니다.
플라즈마 기초 토픽들을 공부하던 중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플라즈마에 isolated (floating) substrate 를 넣었을 때, 전자와 이온이 각각 nv/4 의 flux 로
입사하고, 속도가 더 빠른 전자가 먼저 기판을 charging 시켜서 sheath 형성의 발판을
마련한다고 여러 책들에 소개되고 있는데요,
전자나 이온이 왜 기판에 capture 가 될까요? 초기에 기판은 중성이 아닌가요?
그냥 튕겨나가지 않고 왜 기판을 charging 시키는 지 이해가 되지를 않습니다. 이것을 설명할
수 있는 화학적, 혹은 전기적인 해석이 가능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 2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18] | 75412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4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42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20 |
35 | Sheath와 Plasma Bulk에 걸리는 전압 관련 문의 [1] | 158 |
34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409 |
33 | 전쉬스에 대한 간단한 질문 [1] | 500 |
32 | 프리쉬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528 |
31 |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기체분자종에 따른 기판charing정도차이 문의 [1] | 627 |
30 |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 638 |
29 |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 663 |
28 |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921 |
27 |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945 |
26 | wafer bias [1] | 1020 |
25 |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1079 |
24 |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 1512 |
23 | 쉬스(sheath)에서 전자와 이온의 감소 관련하여 질문 [1] | 1689 |
22 | 부도체를 타겟으로 한 플라즈마 형성 원리 [1] | 2163 |
21 |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1] | 2471 |
20 |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1] | 2485 |
19 | plasma sheath 두께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 2914 |
18 |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 4466 |
17 | Sheath와 Darkspace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8773 |
16 | RF & DC sputtering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87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