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기체분자종에 따른 기판charing정도차이 문의
2017.05.17 14:41
안녕하세요. 저는 플라즈마 공정 관련 일을 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공정으로 인한 substrate의 charing문제로
두 가지 질문이 있어 글을 게시하게 되었습니다.
첫째는
O2만 넣고 플라즈마 했을 때 / H2만 넣고 플라즈마 처리를 했을 때
대상 substrate의 대전된 양의 정도가 H2만 넣었을 때가 더 심한 것으로 보입니다.(검증은 하지 못했음)
그래서 플라즈마 공정 中 측정되는 Vdc 값에 주목을 하였는데, H2만 넣었을 때 MFC에서 공급 된 유량도 더 적게하고
RF power도 더 적게해도 Vdc값이 O2 only보다 굉장히 높게 뜹니다. 제가 알기로는 Vdc값은 기판에서 형성 된 전위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O2 only plasma보다 H2 only plasma의 Vdc값이 현저히 높다는 것은
기판에 대전 된 전하의 양이 더 많다고 생각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문의드리려고 합니다.
둘째는
플라즈마 공정이 끝나고 substrate의 charing정도를 측정하는 기술과 설비들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관련내용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곤호 교수님.
-플라즈마종사자 드림-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19] | 7541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5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4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26 |
35 | Sheath와 Plasma Bulk에 걸리는 전압 관련 문의 [1] | 158 |
34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409 |
33 | 전쉬스에 대한 간단한 질문 [1] | 500 |
32 | 프리쉬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528 |
» |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기체분자종에 따른 기판charing정도차이 문의 [1] | 627 |
30 |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 638 |
29 |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 664 |
28 |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921 |
27 | MFP와 Sheath 관련하여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946 |
26 | wafer bias [1] | 1020 |
25 |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1079 |
24 |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 1513 |
23 | 쉬스(sheath)에서 전자와 이온의 감소 관련하여 질문 [1] | 1689 |
22 | 부도체를 타겟으로 한 플라즈마 형성 원리 [1] | 2165 |
21 |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1] | 2473 |
20 |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1] | 2485 |
19 | plasma sheath 두께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 2916 |
18 | Sheath 길이와 전자의 온도 및 MFP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 4467 |
17 | Sheath와 Darkspace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8773 |
16 | RF & DC sputtering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87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