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te Plasma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019.06.26 09:28
안녕하세요.
반도체 사업에 종사중이며, PECVD장비를 다루고 있습니다.
SiN, SiO Film 을 증착시, NF3 가스로 RPG를 사용해 Cleaning을 진행합니다.
몇몇 글을 보며, in-situ plasma를 동시에 사용하여, N2O / O2를 공급하면, Cleaning 효율이 좋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 대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1. Film 증착 시 SiH4 및 H2 Gas를 사용하는데, Cleaning 시 O2 Gas 를 사용해도 안전상 문제가 없을까요?
2. RPG를 이용한 Cleaning Process 이후, 잔여 Fluorine Gas 는 HF 형태로 잔존하고 있는 걸까요?
3. 2번에서 Cleaning Process 이후 잔여 Fluorine Gas 를 제거하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작은 경험이나마, Low Vacuum 에서 High Vacuum으로 전환 시 Plasma 방전 유무에 따라 Pumping Time이 확연히 차이나기는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2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0] | 7489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75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23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71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082 |
17 | 안녕하세요 CLEAN GAS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 82 |
16 | PECVD Cleaning에서 Ar Gas의 역활 [1] | 352 |
15 | Plasma Ignition 시 Gas 사용에 대한 궁금증 요청드립니다. [1] | 577 |
14 | RPS를 이용한 유기물 식각장비 문의 [1] | 632 |
13 |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 | 720 |
12 | 리모트 플라스마 소스 AK 부품 수출 관련 질문 입니다 반도체 장비 부풉ㅁ | 930 |
11 | Remote Plasma 가 가능한 이온 [1] | 1573 |
» | RPG Clean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2] | 1577 |
9 | RPS를 이용한 SIO2 에칭 [1] | 2030 |
8 | RPSC 관련 질문입니다. [2] | 3434 |
7 | Remote Plasma에서 Baffle 재질에 따른 Plasma 특성 차이 [1] | 10124 |
6 | remote plasma 데미지 질문 [1] | 13892 |
5 | In-flight plasma process | 15453 |
4 | surface wave plasma 에 대해서 [1] | 18380 |
3 | ICP dry etch 장비에서 skin depth가 클수록 좋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1] | 23977 |
2 | PECVD 매칭시 Reflect Power 증가 [2] | 24815 |
1 | RF 플라즈마와 Microwave 플라즈마의 차이 | 93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