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지금 플라즈마 진단을 위하여 QM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RGA mode와 Ion mode가 있는데..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system은 electron beam의 에너지를 control이 가능한데..
1. RGA mode에서 electron beam의 에너지를 0eV로 한 경우와
Ion mode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2. Plasma를 여기시킨 상태에서 RGA mode를 사용하는 경우(위의
질문과 연관이 되는 것 같은데.. )
QMA의 gas input단에서 이온을 QMA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수고하싶시오.. ^^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 7574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3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5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98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188 |
43 | 탐침법 | 27643 |
42 | OES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1] | 25284 |
41 | [질문] Plasma density 측정 방법 [1] | 22611 |
40 | pulse plasma 측정을 위한 Langmuir probe 사용 방법 관련.. [1] | 22545 |
39 | 플라즈마 측정기 [1] | 21292 |
38 | 대기압플라즈마 진단 | 20991 |
37 |
IEDF EQP에 대한 답변
![]() | 20766 |
36 |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1] | 20443 |
35 | Langmuir probe tip 재료 | 20347 |
34 | 안녕하세요. GS플라텍 지성훈입니다. [1] | 20220 |
33 | Noise 문제, 탐침에 의한 식각 플라즈마의.. | 19638 |
» | QMA에 관하여 [1] | 19353 |
31 |
AMS진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 | 19016 |
30 | 플라즈마진단법엔 어떤것이? | 18682 |
29 | RF compensate probe | 18422 |
28 |
PSM을 이용한 Radical측정 방법
![]() | 17021 |
27 | 공정검사를 위한 CCD 카메라 사용 | 16041 |
26 | laser induced plasma의 측정에 관하여 | 14707 |
25 | RGA에 대해서 | 10434 |
24 | 자료 요청드립니다. [1] | 61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