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RF스퍼터로 reactive sputtering을 통해 유전층을 증착하는 실험을 하는데요.

저희연구실에서는 스퍼터링 가스로 Ar/K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학부때는 Kr이 Ar보다 질량이 커서 sputtering yield가 증가한다 정도로만 배웠는데, ion bombardment energy 가 작기 때문에 플라즈마 데미지가 줄고, 더 좋은 막질이 형성된다고 하더라구요.

논문을 조금 찾아봤는데 스퍼터링 가스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에 진행되었는지 최근논문들을 찾아보기 힘들더라구요.

그냥 단순히 생각했을 때 질량이 크면 충돌하는 에너지도 크고, 데미지가 더 셀 것 같은데 Kr 등의 가스가 Ar보다 플라즈마 데미지가 적은 원리에 대해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2] 10316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69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488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50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911
134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표면 화학 반응] [1] 2040
133 안녕하세요. Plasma etch rate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단위 Chamber의 PM 이력] [1] 1022
132 Etching 공정 중 wafer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Ring관련 [Sheath 전위 형성] [3] 3847
131 플라즈마 에칭과 표면처리의 차이점 질문드립니다. [Cleaning, sputter etching, RIE] [1] 2405
130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세정 공정 개발] [1] 1261
129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플라즈마 확산] [1] 589
128 엘립소미터 측정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나노광전자 데이터 분석] [1] 1578
127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file 1339
126 안녕하세요 OLED 증착 시 궁금한점이있어 문의드립니다. [플라즈마 확산 시간 및 표면 반응 시간 유지] [2] 1067
125 접착력을 위한 플라즈마 처리 관련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소스 변경] [1] 936
124 Vacuum chamber(Etching)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Plasma bulk Temp와 wall Temp] [2] 1442
123 [RIE] reactice, non-reactice ion의 역할 [Dissociation과 Ar plasma] [1] 3210
122 O2 Asher o-ring 문의드립니다. [Plasma heat와 dissociation] [1] 1225
121 Dry etch 할 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Plasma diffusion과 distribution] [1] 2808
120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Matcher와 dynamic impedance] [1] 1781
119 Dechucking과 He gas의 관계 질문입니다. [Chucking/dechucking 파티클 제어] [1] 1464
118 Plasma etch 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Sheath와 uniformity] [1] 1847
117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Deposition] [1] 22710
116 CVD품질과 RF Delibery power 관계 질문 [RF power와 plasma information] [1] 2319
115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Bias power] [1] 828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