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ttering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2004.06.21 15:44
질문 ::
제가 알고 있는 범위로는 해결 방법이 없어서 문의 드립니다.
Sputter 공정에서 발생되는 Splash의 감소 및 발생 억제 방안에
대해 알고 계시면 답변 부탁 드립니다.
공정에 사용되는 금속에 따라 전류와 전압 및 H/W Parameter를
(Target과 Magnet 거리) 변경하면서 그 현상을 확인 하고는 있는데
Control이 잘 안되네요.
Splash는 두종류로 나뉘는데...
첫번째는 Wing Type( Chamber 오염)
두번째는 Dome Type(Target 문제...)
현재 골치를 앓고 있는 문제는 '두번째' 인데, 어떻게 풀어야 할지
모르겠네요.
특히 Al 금속에서 그 현상이 심한데, 어떤 방법이 없을까요?
(장비사양은 DC Power/Magnet를 이용한 Film Deposition 방법)
답변 ::
Power를 낮추면 효과가 있죠...
당근한 말이쥐만...
특히 메탈은 어디나 발생되고 문제가 되죠...
윙타입 보다 돔 타입이라면 원인은 간단하네요...
B/P와 TG 사이에서 발생되든가..아님 TG 불순물과 Pore에 기인하든지
여튼 둘다 TG Maker를 조져야 됩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없어지진 않죠....기본적으로 Al 공정에서 발생되는것은 어찌할 수 없습니다. 모든 Arc 기인의 Spalsh는 Charging을 줄이는
수 밖에...그건 Power를 낮추는게 가장 효과적이죠...
글구 process gas도 영향을 주니까 잘 Control 해보시고요...
TM은 크게 효과 있나요? 별 효과 없던데...
혹 좋은 방법 있으면 저도 좀 갈케죠요...도움 안되는 소리만 해서
미안합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2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6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4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4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324 |
43 | N2 플라즈마 공정 시간에 따른 Etching rate의 변화 이유가 알고 싶어요 [2] | 23460 |
42 | H2/O2 플라즈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점... [1] | 24400 |
41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550 |
40 | Dry Etcher 에 대한 교재 [1] | 22428 |
39 | Dry Etch장비에서 Vdc와 Etch rate관계 [1] | 22424 |
38 | Full Face Erosion 관련 질문 [2] | 19421 |
37 | RF에 대하여... | 29113 |
36 | Dechucking 시 wafer 상의 전하 문제 | 23891 |
35 | DC Bias Vs Self bias [5] | 31017 |
34 | 스퍼터링에서 DC bias의 감소 원인이 궁금합니다.. | 24593 |
33 |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 20297 |
32 | 교육 기관 문의 | 17742 |
31 | 스퍼터링시 시편두께와 박막두께 [1] | 21330 |
30 | PECVD에서 플라즈마 damage가 발생 조건 | 29350 |
29 | 플라즈마 코팅에 관하여 | 22007 |
28 |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 20402 |
27 |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 19657 |
26 | DC SPT 문의 | 19631 |
25 | sputter | 16786 |
24 | Arcing | 233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