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2022.03.24 15:39
안녕하십니까, 반도체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
최근 RIE 장비로 Etching test를 진행 중 궁금한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RIE 장비에서 Etching rate에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 dc-bias라고 알고 있습니다.
가스 유량, 압력, 그리고 power 심지어 reflected power 마저도 동일한데 dc-bias만 대략 70V나오던 것이 50V로 줄어드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혹시 이러한 간간히 일어나는 건가 싶어 질문남겨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
김곤호
2022.04.17 09:41
DC 바이어서 혹은 Self Bias 주제어로 검색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Self bias는 타킷이 가진 capacitor 성질에 따라서 표면에 플라즈마 전자들의 하전량에 의해 결정되게 됩니다. 여기서 cap 성질이라면 타킷의 양면, 즉 전력이 인가되는 chuck 표면의 전위와 타킷과 사이의 간극이 갖는 축전용량과 타킷 물질의 축전용량으로 크게 구성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wafer chucking 에서 큰 변화가 없고 bias 전압이 바뀌고 있다면 chucking 특성의 변화, 즉 wafer 간극의 변화에 의해 cap이 바뀐 상태가 아닌가 의심이 됩니다. 만일 간간이 이런일이 일어난다면 chucking 상태를 감시해 보는 것도 방법일 것 같고, 또는 chucking이 잘 되고 있는지의 판단 자료로서 활용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 75754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3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65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03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232 |
54 |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 14708 |
53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5015 |
52 | 박막 형성 | 15259 |
51 |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 15592 |
50 | Ar fraction에 따른 Plasma 특성 질문입니다. [1] | 15745 |
49 | Sputter | 15810 |
48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562 |
47 | nodule의 형성원인 | 16688 |
46 | sputter | 16808 |
45 | ICP 식각에 대하여... | 16850 |
44 | 플라즈마 처리 | 16897 |
43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7008 |
42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158 |
41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 17500 |
40 | 교육 기관 문의 | 17760 |
39 | 플라즈마 응용분야 | 17827 |
38 |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 17981 |
37 |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 17988 |
36 | 증착에 대하여... | 18054 |
35 | sputtering | 182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