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remote plasma 를 이용한 sio2 pre-cleaning 장비 개발을 진행중 궁금점이 생겨 질문남깁니다.

 

우선 개발중인 장비는 NF3+Ar을 Plasma로 인가 시키고 NH3는 gas 상태로 챔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지식으로는 NF3와 NH3의 비율로 SiO2의 식각량이 정해지고 이는 에천트와 SiO2가 반응했을때 생성되는 (NH4)2SiF6 층으로 인해 에천트와 SIO2가 반응을 못하여 self limiting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장비 개발을 위한 실험도중 etching time split을 진행하였는데

 

초반구간에선 식각량이 상승하였고, 중반구간에서 식각량이 limiting 되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etching time을 더 늘렸더니 식각량이 다시 증가하였습니다.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아도 'self limiting이 된다' 라는 자료는 많지만 그 이후 상황에 대한 자료를 찾지 못하여 문의 드립니다.

 

이와 별개로 plasma source를 챔버내부에 인가시켰을때 배기구 쪽으로 source가 계속 흐를텐데 플라즈마 쉬스가 생성되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1. etching time을 늘렸을때 식각량이 증가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2. remote plasma를 이용하여 챔버 내부에 source를 전달할경우 배기부 쪽으로 source가 빠져나가는데 고정이 아닌 움직이는 plasma source로 인해 sheath가 형성되는지 궁금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17] 8278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1991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877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040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6361
153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Capacitance와 DC ripple] 17924
152 교육 기관 문의 17818
151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17253
150 ICP 식각에 대하여… [Electronegative plasma] 17013
149 플라즈마 처리 [표면처리와 Plasma Chemistry] 16983
148 sputter 16913
147 nodule의 형성원인 16832
146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16624
145 Sputter 15956
144 Ar traction에 따른 Plasma 특성 질문입니다. [Chamber wall과 radical reaction] [1] 15934
143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15734
142 박막 형성 [ICP와 MOCVD] 15332
141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15122
140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14776
139 ICP와 CCP의 차이 [Self bias와 Maxwellian distribution] [3] 12792
138 N2, Ar Plasma Treatment 질문입니다. [쉬스 전위 및 플라즈마 세정] [1] 11973
137 미국의 RF 관련 회사 문의드립니다. [플라즈마트 및 휘팅커 회사] [1] 10473
136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9655
135 공기정화기, 표면개질, PDP. 플라즈마응용 9307
134 Ar Gas 량에 따른 Deposition Rate 변화 [Depo radical 형성 및 sputtering] [1] 8801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