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2022.02.22 19:14
안녕하세요.
반도체 식각 산업에 몸담고 있는 이주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Doping type 별 ER이 달라짐이 확인되어 그 메커니즘에 대한 고견을 얻고자 글을 씁니다.
Gas는 Cl2 N2 base로
Si (non-doping) VS SiGe(non-doping) 에서는
SIGe가 Etch Rate이 더 빨랐는데
Si (p doping/ nmos) VS SiGe(Ga doping / pmos) 에서는
Si (p doping/ nmos) 경우가 Etch Rate이 빨랐습니다.
혹시 도핑만으로 Etch Rate이 바뀔 수 있을까요?
P doping을 하게 되면 전자가 하나 남고 이게 Cl을 더 빠르게 붙도록 유도해서
그 결과 Etch Rate이 더 높은걸까요?
Bonding energy나
Gibbs energy를 찾아보았지만 모든 수치를 확인하지 못해서
결론을 못내리고 있습니다.
추가로 gibbs energy 수치가 plasma etch rate에 영향을 줄까요?
감사합니다.
이주현 드림.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3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3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02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31 |
53 |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 25 |
52 |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 114 |
51 |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 207 |
50 |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 | 264 |
49 | Polymer Temp Etch [1] | 293 |
48 |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 352 |
47 |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 468 |
46 |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631 |
45 |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 684 |
44 | RIE 공정시에 형성되는 두 효과를 분리해 보고 싶습니다. [1] | 698 |
43 |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718 |
42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724 |
41 |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 773 |
40 |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 | 908 |
39 |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 982 |
38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1021 |
37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32 |
36 |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 1073 |
» |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 1262 |
34 |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 | 1288 |
지금은 잊었습니다만 관련 주제의 연구 결과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당연히 식각률이 달랐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선행 연구가 있으니 한번 찾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표면 화학과 관련해서는 전북대학교 임연호 교수님께서 MD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