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in general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2021.05.07 19:52
안녕하세요. 저는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재우입니다. 천체물리학에 관심이 있어
자연스럽게 플라스마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태양을 비롯한 천체와 은하의 격렬한 활동에
의해 우주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X선과 감마선이 흔하게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다 구 대칭으로 편광 된 빔들이 더해져 중심부에 큰 세기가 되는 것을 알고
핵융합뿐만 아니라 전자기파도 플라스마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스의 절연내력만 넘겨도 절연파괴가 일어나 아크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플라스마의 물성이 난해하고 분포가 균일하지 않으면 더 어려워서 '금속 전도성이
한계일 것이다.'라는 전제를 가졌습니다. 감쇠상수가 0이 될 수 있는 파장대를 찾아
보니 감마선이었습니다.
하지만 빛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산란 혹은 흡수 등이 일어날 수도 있고 ...
물어볼 사람도 없고 실제로 플라스마에 X-ray이나 감마선을 조사할 수도 없어 답답했습니다.
그러다 서울대 플라스마 연구소를 알게 되었고, 이렇게 질문을 하게 됐습니다.
첨부파일은 제가 어설프게나마 생각한 것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1. 구 대칭으로 편광 된 X-ray을 조사하였을 때 플라스마는 어떻게 될까요?
2. 자연계에서 플라스마의 도전율의 한계가 어디로 생각하는게 좋을까요?
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그럼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3] | 5808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215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074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4487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101 |
698 | 실리콘 수지 코팅 Tool에 Plasma 클리닝 시 코팅 제거 유/무 [1] | 18 |
697 |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 41 |
696 | ICP lower power 와 RF bias [1] | 60 |
695 | 기판표면 번개모양 불량발생 [1] | 61 |
694 | RF 전압인가 시 LF와 HF 에서의 Sheath 비교 [1] | 92 |
693 |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124 |
692 |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 | 148 |
691 |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 151 |
690 | ESC DC 전극 Damping 저항 | 160 |
» |
구 대칭으로 편광된 전자기파를 조사할 때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169 |
688 |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 182 |
687 | OES 파장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1] | 207 |
686 |
RF Sputtering Target Issue
[1] ![]() | 213 |
685 |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 | 214 |
684 |
plasma striation 관련 문의
[1] ![]() | 219 |
683 | Polymer Temp Etch [1] | 220 |
682 |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 231 |
681 |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232 |
680 |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 | 234 |
679 |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 2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