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플라즈마의 어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이것이 고대그리스어인 플라신(?)-형태가 있는 것을 만든다...뭐 이런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자료들은 많은데 그게 어떻게 해서 그렇게 붙혀진 건지...그런 자세한 자료는 찾을 수가 없더라구요.
어떻게 저 이름이 붙게되었는지, 누가, 왜 저러한 이름을 붙힌것인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답변
좋은 질문입니다. 플라즈마라는 말은 사실 본 현상을 설명하는
말은 아니었습니다. 차용하였지요. 그 말을 처음 쓰기 시작한 사람으로
Langmuir라는 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전 까지는 전자, 이온, 이온화된 개스, 방전 등으로 일컬어졌었지요. 따라서 이 말을 처음 쓴 Langmuir라는 사람을 찾아보면 질문에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어원 못지 않게 이 분에 대해서 관심을 갖으면 플라즈마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꼭 찾아보기 바랍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8 |
528 | ICP 식각에 대하여... | 16828 |
527 | Virtual Matchng | 16808 |
526 | sputter | 16800 |
525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6774 |
524 |
ESC Chuck Pit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 | 16749 |
523 | nodule의 형성원인 | 16664 |
522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557 |
521 | 좁은 간격 CCP 전원의 플라즈마 분포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 16493 |
520 | CCP 의 electrode 재질 혼동 | 16389 |
519 | 궁금해서요 | 16300 |
» | 플라즈마의 어원 | 16296 |
517 | 궁금합니다 [1] | 16146 |
516 | 공정검사를 위한 CCD 카메라 사용 | 16021 |
515 | 핵융합과 핵폐기물에 대한 질문 | 16012 |
514 | 역 수소폭탄에 대하여... | 15996 |
513 | 플라즈마로 처리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1] | 15942 |
512 | k star | 15942 |
511 | ICP TORCH의 냉각방법 | 15874 |
510 | corona | 15843 |
509 | Sputtering 중 VDC가 갑자기 변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15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