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플라즈마에 관해 관심이 많은 손병우라는 고등학생입니다.

제가 학교에서 플라즈마와 관련된 실험을 하려고 여럿 인터넷과 유투브 등을 뒤지면서 플라즈마 볼을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만들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유투브에서와 비슷하게 플라즈마 볼에 도선을 걸친 뒤에 ( 유리구 위에 도선을 여러번 감아 올려둔 뒤에 ) 그 도선의 끝부분과 다른 철로 된 막대기 부분을 주사기 안에 넣어 진공으로 만들어 조잡하게나마 플라즈마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제가 플라즈마에 관한 많은 지식이 없어 이 원리가 왜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플라즈마 볼이 하나의 1차코일이고 도선 자체가 2차코일이 되어 도선의 끝에서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죄송하지만 질문을 한가지 더 드린다면, 이 방법을 통해서 플라즈마를 식물에다가 쪼이게 되면( 식물 자체에는 바로 쏘이지 않을 테니 식물의 잎을 알루미늄 호일로 덮은 뒤에 ) 식물이 더 빨리 자랄 수 있을까요?

제가 조잡하게나마 본 지식으로는 저온 플라즈마일 때 식물에 쪼이면 식물의 성장이 빨라진다고 들어서 이렇게 한다지만 지금 발생시키는 것이 저온플라즈마가 아닌 고온플라즈마(확실하지가 않습니다....)인데도 불구하고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준다면 어떠한 원리로 되는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

많은 질문을 해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답변을 주신다면 정말정말 고맙겠습니다.


( 고등학생 수준에서 플라즈마를 알고자 하니 너무 어렵습니다.... 혹시 좋은 책이나 인터넷 사이트가 있다면 추천해주십시오 )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18] 7540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14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47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53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9320
508 알고싶습니다 [1] 1216
507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1217
506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1222
505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3] 1232
504 PECVD와 RIE의 경계에 대해 [1] 1248
503 Matcher 구성에 따른 챔버 임피던스 영향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1252
502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1253
501 DBDs 액츄에이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3] 1267
500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1270
499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272
498 [질문] Plasma 장비에 대한 Monitoring 질문 [2] 1273
497 Edge ring과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 [1] 1275
496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1277
495 IMPEDANCE MATCHING PATH에서 S/H ~ MATCHER 간 전력전송 방법들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1278
494 Depo시 RF 초기 Reflect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305
493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1307
492 O2 plasma etch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1320
491 MATCHER 발열 문제 [3] 1335
490 dbd-플라즈마 질문있어욤!!!!! [1] file 1341
489 플라즈마 내에서의 현상 [1] 1342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