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플라즈마 식각에 대해 공부하던중 이 사이트를 보게되었고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SF6, CF4 based process에서 O2의 역할이

1. Reaction with SFn and CFn- -fluorine concentration

2. Reaction with resist-sidewall polymer formation

3. Increase in the resist etch rate

이라고 배웠습니다.

 

먼저 1번의 fluorine concentration의 의미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산소가 C혹은 F와 어떤 반응을 일으켜 F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번의 sidewall polymer formation에서는 산소가 polymer를 직접적인 원소가 되는지, 아니면 C나 S, F가 polymer을 형성하는데에 도움을 주는건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3번의 etch rate를 향상시키는 이유를 블로그에서 찾아봤습니다. 산소가 F*와 결합, 분해를 반복하며 F*의 recombination을 방지하여 F*농도를 유지하게 해주기 때문에 etch rate가 증가한다.' 라고 하는데 이 이유가 맞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

 

교수님께서 쓰신 아래의 댓글과 연관시켜 생각해보려했는데 쉽지가 않아서 질문드렸습니다. 

 

((상황 해석에는 장치 구조와 flow 해석 등이 포함되어야 하겠습니다만, 일단 Ar 과 O2의 플라즈마 생성 기전의 차이를 참고해 보세요. 

Ar은 Ar+e --> Ar+ + 2e 및 Ar+e--> Ar* ==? Ar*+e--> Ar+ + 2e 의 step ionization 으로 metastable을 거쳐서 이온화되는 과정이 활발하여 플라즈마를 만들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O2의 경우에는 O2 의 이온화, 및 dissociation을 통한 O2+e -->O+O+e--> O+O+ +2e 의 dissociative ionization 즉 해리과정을 거치 후에 라디컬 만들면서 이온화 되는 경향도 큽니다. 여기에는 해리에 전자 에너지 소모가 커지게 됩니다. 더욱 방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O는 전자 친화도가 커가 O- 음이온을 만들기도 하여 가속될 전자들이 줄어드는 효과까지 있으니, 산소는 플라즈마 방전에 에너지를 더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Ar 기반에 산소를 첨가해서 방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도 하는 까닭이 있습니다. 산소는 화학반응력이 크기 써야 하겠고,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쓰려면 Ar를 첨가하거나 분율을 맞추어 주는 방법입니다. 분율의 절대값은 장치 특성에 따르니 몇 번의 자료를 얻으면 범위를 찾을 수가 있고, 굳이 이론적으로 해석할 가치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68] 76726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17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16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69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2275
529 ICP Chamber Type의 Belljar Arcing관련 문의드립니다. [2] 1272
528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1281
527 Wafer Warpage에 따른 CCP Type Chamber 내부 Impedance [1] 1286
526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1291
525 [CVD] 막 증착 관련 질문입니다. [4] 1294
524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1307
523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1318
522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1319
521 ICP-RIE etch에 관해서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1] 1323
520 CCP 챔버 접지 질문드립니다. [1] file 1324
519 DBDs 액츄에이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3] 1330
518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1330
517 Plasma Cleaning 관련 문의 [1] 1345
516 Langmuir probe의 위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3] 1349
515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1352
514 Plasma arcing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354
513 OES 분석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1366
512 Ashing 공정에 필요한 O2 plasma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1373
511 [질문] Plasma 장비에 대한 Monitoring 질문 [2] 1374
510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137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