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플라즈마 식각에 대해 공부하던중 이 사이트를 보게되었고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SF6, CF4 based process에서 O2의 역할이

1. Reaction with SFn and CFn- -fluorine concentration

2. Reaction with resist-sidewall polymer formation

3. Increase in the resist etch rate

이라고 배웠습니다.

 

먼저 1번의 fluorine concentration의 의미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산소가 C혹은 F와 어떤 반응을 일으켜 F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번의 sidewall polymer formation에서는 산소가 polymer를 직접적인 원소가 되는지, 아니면 C나 S, F가 polymer을 형성하는데에 도움을 주는건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3번의 etch rate를 향상시키는 이유를 블로그에서 찾아봤습니다. 산소가 F*와 결합, 분해를 반복하며 F*의 recombination을 방지하여 F*농도를 유지하게 해주기 때문에 etch rate가 증가한다.' 라고 하는데 이 이유가 맞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

 

교수님께서 쓰신 아래의 댓글과 연관시켜 생각해보려했는데 쉽지가 않아서 질문드렸습니다. 

 

((상황 해석에는 장치 구조와 flow 해석 등이 포함되어야 하겠습니다만, 일단 Ar 과 O2의 플라즈마 생성 기전의 차이를 참고해 보세요. 

Ar은 Ar+e --> Ar+ + 2e 및 Ar+e--> Ar* ==? Ar*+e--> Ar+ + 2e 의 step ionization 으로 metastable을 거쳐서 이온화되는 과정이 활발하여 플라즈마를 만들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O2의 경우에는 O2 의 이온화, 및 dissociation을 통한 O2+e -->O+O+e--> O+O+ +2e 의 dissociative ionization 즉 해리과정을 거치 후에 라디컬 만들면서 이온화 되는 경향도 큽니다. 여기에는 해리에 전자 에너지 소모가 커지게 됩니다. 더욱 방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O는 전자 친화도가 커가 O- 음이온을 만들기도 하여 가속될 전자들이 줄어드는 효과까지 있으니, 산소는 플라즈마 방전에 에너지를 더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Ar 기반에 산소를 첨가해서 방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도 하는 까닭이 있습니다. 산소는 화학반응력이 크기 써야 하겠고,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쓰려면 Ar를 첨가하거나 분율을 맞추어 주는 방법입니다. 분율의 절대값은 장치 특성에 따르니 몇 번의 자료를 얻으면 범위를 찾을 수가 있고, 굳이 이론적으로 해석할 가치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4] 7576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44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66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02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0304
397 Etcher Chamber Wall에 의도적으로 Polymer를 증착시키고 싶습니다. [2] 3234
396 RF plasma 증착 시 arcing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3234
395 Bias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3205
394 PP & PET 친수성과 접착성 유지 질문입니다. [1] 3188
393 Gas 별 Plasma 색 관련 질문입니다. [1] 3176
392 아르곤이나 기타 플라즈마 토치에 소량의 수증기를 집어넣으면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에 대해서 3143
» RIE에서 O2역할이 궁금합니다 [4] 3103
390 dry etching중 온도, 진공도, glass상태에 따라 chucking force가 변화하는지요? [1] 3099
389 plasma sheath 두께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3074
388 M/W, RF의 Plasma에 의한 Ashing 관련 문의드립니다. [1] 3061
387 Plasma 에칭 후 정전기 처리 [3] 2966
386 matcher, ESC, Heater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3] 2923
385 electron energy distribution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2915
384 RF Power와 균일도 연관성 질문드립니다. [2] 2838
383 PECVD Precursor 별 Arcing 원인 [1] 2828
382 HF/F2와 silica 글래스 에칭율 자료가 있을까요? 2777
381 Matcher의 Load/Tune Position 거동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2] 2763
380 CVD 공정에서의 self bias [1] 2757
379 HF+LF 사용 중. HF Power 증가 시 Deposition Rate 감소 현상 문의 [1] 2756
378 Plasma etcher particle 원인 [1] 2746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