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2010.11.29 20:03
>안녕하세요
>제가 ICP 장비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처리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챔버내에 O2와 H2 가스를 혼합하여 플라즈마를 띄웠습니다.
>공정 압력은 10-3 torr 정도 이고 가스유량은 산소 10 : 수소 50 ~ 산소 50 : 수소 50 sccm 입니다.
>궁금한거는 산소와 수소가 만나면 폭발을 할 위험이 있는데요 안전한건지 궁금합니다.
>안전하다면 왜 안전 한건지 이유도 같이 알려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그리고 H2/O2 비율과 압력대 관련 가용영역 이러한 자료는 어디에서 구할수가 있을가요??
>인터넷으로 검색을 한다면 무슨 제목으로 검색을 해야 할가요? 현재 한참 검색을 해보았는데 아직 관련 자료응 얻지 못하였습니다.
>
>그리고 만일 안전 하다면... 혹시 고진공 수소와 산소 혼합가스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챔버내에 불꽃이나 스파크가 일어 난다면 그때는 폭발의 위험성이 큰거 겠죠??
아 제가 그 글을 읽고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그 글을 읽었는데 아직 잘 모르는 부분이 있어서 이 글을 남겼는데요.. 잘모르는 부분은 위 글에서 처럼
1. H2/O2 비율과 압력대 관련 가용역영 << 이자료를 여기저기 찾아 보았는데 아직 못찾아서요 혹시 찾을수 있을 만한 곳을 아시면 알려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2. 그리고 안전한 이유는 그냥 고진공에서는 H2/O2 혼합하여도 고진공이라 안전한건가요?? 안전한 이유도 알려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3. 그리고 마지막으로 챔버내에서 수소/산소 혼합가스로 플라즈마 생성하는 과정에서 불꽃이나 스파크가 일어난다면 그때의 폭발 위험성은 어떻게 되는지 이렇게가 가장 궁금한 점입니다.
알고 계신 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2010-11-29
12:11:27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9] | 73003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1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693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22 |
135 |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 20692 |
134 |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 20382 |
133 |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 20268 |
132 |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20091 |
131 |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 19635 |
130 | DC SPT 문의 | 19612 |
129 |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 19586 |
128 | Full Face Erosion 관련 질문 [2] | 19378 |
127 |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2] | 19162 |
126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박막처리 | 19135 |
125 | 플라즈마의 환경이용 | 18664 |
124 | 물리적인 sputterting | 18265 |
123 | sputtering | 18197 |
122 | 증착에 대하여... | 17983 |
121 | Plasma of Bio-Medical Application | 17951 |
120 |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 17917 |
119 | 플라즈마 응용분야 | 17753 |
118 | 교육 기관 문의 | 17729 |
117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 17369 |
116 |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 171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