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2022.03.24 15:39
안녕하십니까, 반도체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
최근 RIE 장비로 Etching test를 진행 중 궁금한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RIE 장비에서 Etching rate에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 dc-bias라고 알고 있습니다.
가스 유량, 압력, 그리고 power 심지어 reflected power 마저도 동일한데 dc-bias만 대략 70V나오던 것이 50V로 줄어드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혹시 이러한 간간히 일어나는 건가 싶어 질문남겨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
김곤호
2022.04.17 09:41
DC 바이어서 혹은 Self Bias 주제어로 검색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Self bias는 타킷이 가진 capacitor 성질에 따라서 표면에 플라즈마 전자들의 하전량에 의해 결정되게 됩니다. 여기서 cap 성질이라면 타킷의 양면, 즉 전력이 인가되는 chuck 표면의 전위와 타킷과 사이의 간극이 갖는 축전용량과 타킷 물질의 축전용량으로 크게 구성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wafer chucking 에서 큰 변화가 없고 bias 전압이 바뀌고 있다면 chucking 특성의 변화, 즉 wafer 간극의 변화에 의해 cap이 바뀐 상태가 아닌가 의심이 됩니다. 만일 간간이 이런일이 일어난다면 chucking 상태를 감시해 보는 것도 방법일 것 같고, 또는 chucking이 잘 되고 있는지의 판단 자료로서 활용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8 |
152 |
RF Sputtering Target Issue
[2] ![]() | 427 |
151 | 기판표면 번개모양 불량발생 [1] | 450 |
150 | Polymer Temp Etch [1] | 497 |
149 | 전자기장 및 유체 시뮬레이션 관련 [1] | 501 |
148 | [재질문]에칭에 필요한 플라즈마 가스 [1] | 508 |
147 |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 545 |
146 |
Dusty Plasma의 진단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1] ![]() | 586 |
145 |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 599 |
144 | 접착력을 위한 플라즈마 처리 관련 질문입니다 [1] | 601 |
143 | 기판 위에서 Radical의 운동역학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 | 608 |
142 | 안녕하세요 OLED 증착 시 궁금한점이있어 문의드립니다 [2] | 615 |
141 | O2 플라즈마 사용에 대한 질문을 드립니다. | 625 |
140 | Ashing 공정에 필요한 O2 plasma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 635 |
139 | 안녕하세요. Plasma etch rate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 636 |
138 | 플라즈마 절단시 C와 N의 결합가능성 [2] | 645 |
137 | ICP 후 변색 질문 | 669 |
136 |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 701 |
135 |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1] | 710 |
134 |
플라즈마 세정 장비 (CCP구조)에서 자재 로딩 수에 따른 플라즈마 효과 및 Discolor
[1] ![]() | 750 |
133 | RIE 공정시에 형성되는 두 효과를 분리해 보고 싶습니다. [1] | 7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