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도체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과정에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J-R Type ESC는 강한 Chucking Force 대비 Process 진행 후 ESC Surface에 Residual Charge가 남아있게 되어 정전기적 힘에 의해 WF 깨짐이나 Sticking등의 문제가 발생,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 잔류전하를 제거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ESC를 Ground or Reverse Voltage or Plasma Dechuck등

그중에 Plasma Dehuck를 사용한 Residual Charge 제거 원리가 궁금합니다.


1. 기본적으로 J-R Type의 ESC 에서 RF를 이용한 Etching 진행시, negative 전자로 발생한 Self DC Bias에 의해 + ion이 WF에 이온 충돌을 사용하는데

Process 과정에서 WF 표면의 Charge 관점만 생각하면 Charge가 0v가 되는게 이론상으로 맞는건가요??? (Electon Flux=Ion Flux의 개념을 기반으로)


2. 공정 Condition에 따라 WF에 잔류 전하가 + 이든 - 이든 미량으로 남아있다고 할때, Plasma Dechuck 과정으로 전하 Neutralize가 일어난다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Low Power Plasma의 전자와 이온이 WF에 입사될때 WF에 남아있는 + 와 - Charge와 Compensation 되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3. 최종적으로 Process -> Plasma Dechuck 이후에는 WF 상의 Charge가 Zero 인것이 베스트인데, 그렇지 못할경우 이론적으로 WF 상의 잔류 전하는 Positive 일지, Negative 일지 어느정도 예상할수 있을까요?


질문이 모호하긴 한데 WF 표면상의 Charge 와 Plasma Dechuck 과정의 메커니즘이 직관적으로 와닺지가 않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0] 74896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8752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231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6712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8082
318 O2 플라즈마 표면처리 관련 질문2154 [1] 6040
317 자료 요청드립니다. [1] 6118
316 O2 plasma, H2 plasma 처리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6195
315 저온 플라즈마에 관해서 [1] 6271
314 공동형 플라즈마에서 구리 전극의 식각 문제 [2] 6280
313 플라즈마 건식식각 장비 부품 정전척 공정 진행 후 외각 He-hole 부위 burning 현상 매카니즘 문의.. [1] 6315
312 플라즈마 데미지에 관하여.. [1] 6316
311 플라즈마 기술관련 문의 드립니다 [1] 6362
310 액체 안에서의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6365
309 저온플라즈마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ㅠ [1] 6407
308 RF Generator와 Impedance 관련 질문있습니다 [2] 6432
307 플라스마 상태에서도 보일-샤를 법칙이 적용 되나요? [1] 6499
306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2] 6527
305 ETCH 관련 RF MATCHING 중 REF 현상에 대한 질문입니다. [1] 6757
304 RF Power reflect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7068
303 정전척 isolation 문의 입니다. [1] 7334
302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1] 7452
301 플라즈마 쪽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1] 7626
300 MFP에 대해서.. [1] 7730
299 플라즈마 균일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733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