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현재 반도체 장비업체에서 Dry etch관련 공정 업무를 수행하고있는 연구원입니다.

평소 플라즈마에 대해 공부하며 다른 사람의 질의응답들을 참고하곤 했었는데, 처음 질문글을 남기게 되네요.

플라즈마 관련 공부 및 실험을 진행하다 궁금한 사항이 있어, 질의를 드립니다.


1. 플라즈마를 방전시켰을때, 발생하는 arcing현상이 발생하는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절연 물질이 절연파괴가 되면서 해당 부분으로 전하가 축적되어 전하차이에 의해 발생하는건가요?

   arcing현상을 줄이기위한 방법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절연층을 두껍게한다거나, Ground 접지를 이용한 방법들 외 다른 방법들도

   있는지요?


2. 추가로 비슷하게 Local plasma? 플라즈마 방전시 안정화되지 못하고 깜빡거리는 현상역시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parameter는 Pressure,  gas, Power 등인데, 각 parameter들이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하기에 부족하거나 불안정하여

    발생되는 현상인가요?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7302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1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69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27
306 플라스마 상태에서도 보일-샤를 법칙이 적용 되나요? [1] 6482
305 RF Power reflect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6485
304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2] 6509
303 ETCH 관련 RF MATCHING 중 REF 현상에 대한 질문입니다. [1] 6689
302 정전척 isolation 문의 입니다. [1] 7280
301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1] 7404
300 Bipolar, J-R Type Electrostatic Chuck 에서의 Discharge 원리가 궁금합니다. 7532
299 ICP와 CCP는 단순히 플라즈마를 생서하는 방법인가요? [1] 7581
298 플라즈마 쪽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1] 7597
297 플라즈마 균일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7679
296 MFP에 대해서.. [1] 7691
» Arcing(아킹) 현상 및 local plasma 관련 문의 [1] 7813
294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1] 7952
293 플라즈마 발생 억제 문의 [1] 7960
292 고온 플라즈마 관련 8045
291 Ar Gas 량에 따른 Deposition Rate 변화 [1] 8143
290 N2 환경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1] file 8363
289 Microwave 장비 관련 질문 [1] 8396
288 수중플라즈마에 대해 [1] 8441
287 Lecture를 들을 수 없나요? [1] 850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