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glow discharge 플라즈마 살균 방식
2020.06.19 16:13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살균에 대해 이번에 대학에서 과제로 발표를 해야하는 학생입니다. 플라즈마에 대해 계속 찾아보고 있는데,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너무 많아서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제가 검색한 바로는 플라즈마 살균(공기청정기)는 고전압플라즈마와 광플라즈마 방식이 있는데, 고전압플라즈마보다 광플라즈마에 맞춰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고 하고, 광플라즈마 특성은 저온에 대기압이고 화학적처리 방식, 오존처리방식, 물리적 처리방식 등이 있다.
오존처리 방식이 자외선(UVU)를 사용하는 거라는데 맞나요??? 그리고 플라즈마 살균기 동작원리가 궁금합니다. 그냥 외부에 있는 공기를 빨아드려서 내부에서 수산화이온과 산소이온 등으로 분해한후 방출시켜 이온들이 외부에 있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건가요? 또한 자외선은 어디에 쓰이는 건가요? 이온을 나눌때 사용이 되나요?
댓글 2
-
김곤호
2020.06.19 18:50
-
플라즈마 살균 이란 넓은 의미의 개념이라 혼동이 있습니다, 전기살균이라 고 해야 적당할지도므로겠네요
이방식들은 모두 전기 방전 현상을 이용하는데 오존방식은 코로나방정을 시켜 오존을 생성후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 세균을
죽이는 방법입니다 주로 세균에 에어타입 오존을 분사하는 방식과 통과시키는 방식이있습니다.형태는 방전관(전극을 어떤구조로
만드느가에 따라 업체별도 다양합니다. 수산화이온,산소이온도 동일 한 원리동일한 방식입니다 다만 어느 효과를 위주로 전극을
만들고 어느것이 효과가 크도록 사용하는가의 차이입니다
전기방전을 하면 플라즈마 도 생기고 언급된 여러가지가 생기므로 일어난 혼선일지고 모르겠네요?
구체적질문 있으면 메일 주세요
hyeonji63@gmail.com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13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5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38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3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286 |
299 | 플라즈마 균일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 7737 |
298 | Bipolar, J-R Type Electrostatic Chuck 에서의 Discharge 원리가 궁금합니다. | 7755 |
297 | ICP와 CCP는 단순히 플라즈마를 생서하는 방법인가요? [1] | 7821 |
296 |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1] | 8003 |
295 | 플라즈마 발생 억제 문의 [1] | 8013 |
294 | 고온 플라즈마 관련 | 8057 |
293 | Ar Gas 량에 따른 Deposition Rate 변화 [1] | 8213 |
292 |
N2 환경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생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 8426 |
291 | matcher에서 load,tune의 역할이 궁금합니다. [1] | 8433 |
290 | Microwave 장비 관련 질문 [1] | 8442 |
289 | Arcing(아킹) 현상 및 local plasma 관련 문의 [1] | 8516 |
288 | Lecture를 들을 수 없나요? [1] | 8523 |
287 | 수중플라즈마에 대해 [1] | 8523 |
286 | 핵융합에 대하여 | 8535 |
285 | RF & DC sputtering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8635 |
284 | Sheath와 Darkspace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8696 |
283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 8796 |
282 | 진공챔버내에서 플라즈마 발생 문의 [1] | 9004 |
281 | 공기정화기, 표면개질, PDP. 플라즈마응용 | 9195 |
280 | 에칭후 particle에서 발생하는 현상 | 9273 |
Wikipedia 에서 plasma medicine으로 검색해 보세요.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광운대학교 최은하교수님의 플라즈마의과학연구센터에서 자료를 구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