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RF를 전공하고, 현재 RF 소자 시뮬레이션 관련 일을 하고 있는 강경석이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안테나나 필터와 같은 RF수동소자에 대해서 해석을 주로 진행하였습니다만, 반도체 공정 장비에 대한 해석업무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공정 장비에 RF 해석을 어떤 부분에서 접목 가능할까부터 시작하였고, 스터디 결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ICP, CCP, Ion implantation에 접목 시킬 수 있겠다 라는 결론이 도출 된 상태입니다.

그래서 ICP, CCP, Ion implant 관련하여 스터디 하는 도중에 막히는 부분이 생겨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제가 공부한 바로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때 가스에 인가하는 에너지 타입에 따라서 ICP, CCP로 나뉜다고 이해 하였습니다.

그리고 Ion implant는 Ion을 주입하여서 반도체 wafer에 어떤 극성을 갖게 만드는 것이라고 이해하였구요,


여기서 질문은 그럼 ICP, CCP 장치에서 발생시킨 플라즈마를 가지고 Ion Implant 공정에 활용 하는 것인가요?

1. ICP. CCP에서 발생시킨 플라즈마에서 양이온만을 골라내서 Ion implant 공정에 활용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 양이온만 골라내고, 나머지 전자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전공이 이쪽이 아니라서, 질문이 너무 애매모호 합니다..ㅠ 질문도 많은것을 알고 있어야 정확하게 질문할 수 있는데, 제가 배경지식이 너무 부족하다보니 질문이 애매하네요,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8] 7299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58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2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68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06
205 I-V characteristic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1066
204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1059
203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1056
202 RF 전압과 압력의 영향? [1] 1053
201 자기 거울에 관하여 1048
200 micro plasma에 사용되는 전력을 알고 싶습니다. [1] 1039
199 PECVD와 RIE의 경계에 대해 [1] 1037
198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1030
197 ESC Polymer cracking 제거를 위한 ISD 공정 문의 1023
196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1022
195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1018
194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1010
193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994
192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990
191 부가적인 스퍼터링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988
190 플라즈마 진단에서 rogowski 코일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986
189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978
188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977
187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975
186 플라즈마 코팅 [1] 97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