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압 플라즈마와 관련하여 몇가지 문의 드릴려고 합니다.

1. 헬륨 가스를 이용하여 상압 플라즈마를 발생 시켰을때, 헬륨 이온이 생성 될때 발생하는

    전자로 인하여 공기중의 다른 원소들이 이온화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이온화된

    헬륨은 인체 또는 공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문의 드립니다.

 

2. 텅스텐을 세라믹으로 감싼 전극과 아노다이징 된 알루미늄 사이(0.5mm)에 물 미립자를 통과 시켜서

    -OH 라디칼 이온을 만들려고 했는데, 오존이 종종 발생 됩니다. 전극에서 전달된 에너지가

    -OH 라디칼 이온과 오존 중 어떤 걸 먼저 만들어 내는지 알 수 있을까 해서요..

 

우선은 두가지 문의 드립니다.

제 이메일 주소는 vngkgk11@gmail.com 입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30] 102233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458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6123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332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105558
313 O2 플라즈마 표면처리 관련 질문2154 [1] 6942
312 RPS를 이용한 NF3와 CF4 Etch Rate 차이 [물리적/화학적 세정] [4] 6947
311 SiO2를 Etching 할 시 NF3 단독 보다 O2를 1:1로 섞을시 Etching이 잘되는 이유 [ER과 energy transport] [1] file 6962
310 저온플라즈마에 관해서 [플라즈마 방전의 특성] [1] 7072
309 O2, N2, Ar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표면 화학 반응] [2] 7209
308 ETCH 관련 RF MATCHING중 REF 현상에 대한 질문입니다. [플라즈마 응답 특성] [1] 7552
307 CCP에서 DIelectric(유전체)의 역활 [유전체 격벽 방전] [1] 7929
306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CCP와 Vdc, Vpp] [1] file 7943
305 플라즈마 쪽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RRC 연구센터 문의] [1] 7960
304 RF Generator와 Impedance 관련 질문있습니다 [High Power RFG] [2] 7976
303 MFP에 대해서.. [Collisional cross section] [1] 8078
302 정전척 isolation문의 입니다. [Paschen's law와 절연파괴현상] [1] 8084
301 고온 플라즈마 관련 8159
300 안녕하세요. O2 plasma etching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Bias power] [1] 8229
299 플라즈마 발생 억제 문의 [Induction field와 breakdown] [1] 8295
298 플라즈마 균일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플라즈마 밀도와 중성 가스의 균일도] [1] 8367
» 상압 플라즈마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DBD와 플라즈마 방전 메커니즘] [1] 8376
296 핵융합에 대하여 [상온 핵융합 관련 연구 동향] 8632
295 Lecture를 들을 수 없나요? [1] 8748
294 Microwave 장비 관련 질문 [RF Plasma의 주파수에 따른 파장의 길이] [1] 882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