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cher RF Antena와 Matcher 間 상관관계 문의드립니다.
2022.04.19 11:40
안녕하세요
측정장비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연구 엔지니어입니다.
ICP(13.56MHz) 이용해 플라즈마 띄우고 Standard L-type Matching Network 사용중입니다.
Matcher에 대해 어느정도 이론은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현실은 다르네요.
안테나와 Matcher 間 거리, 안테나의 길이, Clamp로 엮는 위치 등등 모든게 변수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Plasma를 띄운 후 Current 값이 계속해서 안정적이지 못하고 뛰는 것 같은데 혹시 이러한 값들도 영향을 미치나요?
혹시 최선의 값을 알고 계신다면 알려주시면 진심으로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신 연구 와중에도 항상 저희에게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1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5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3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3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287 |
679 |
plasma striation 관련 문의
[1] ![]() | 314 |
678 | Chamber impedance 범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394 |
677 |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1] | 404 |
676 |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 | 317 |
675 |
RPSC 시 Pressure와 Throttle Valve Position의 관계
[1] ![]() | 721 |
674 | Plasma Ignition 시 Gas 사용에 대한 궁금증 요청드립니다. [1] | 579 |
673 | Plasma Arching [1] | 664 |
672 | Polymer Temp Etch [1] | 373 |
671 |
CCP Plasma 해석 관련 문의
[1] ![]() | 648 |
670 |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 256 |
669 | 플라즈마 관련 교육 [1] | 964 |
668 | 반도체 관련 플라즈마 실험 [1] | 567 |
667 |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 314 |
666 | 방전수 활성종 중 과산화수소 측정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755 |
665 | Dry Chamber VPP 변동 관련 질문입니다 [1] | 607 |
664 | RF 파워서플라이 매칭 문제 | 581 |
663 |
CCP 설비에서 Vdc, Vpp과 Pow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 2215 |
662 | RF Power 인가 시 Gas Ramping Flow 이유 [1] | 906 |
661 | 플라즈마 진단 공부중 질문 [1] | 467 |
660 |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 509 |
최선의 설계는 전기공학적인 설계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만, 저는 경험이 없어 즉답을 드리기 힘듧니다. 다만 제 실험에서는 물리적으로 잘 결합이 되고, 접지에 각별하게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정도만 알고 있습니다. 특히 clamp로 묶는 일 들은 매우 신중하셔야 할 것 같고요. RF는 DC와 매우 다르게 다루어야 하는 점 꼭 신경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