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er head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2022.09.26 19:29
안녕하세요. CCP TYPE의 Chamber에 관한 문의점이 있습니다.
CCP 방식의 Chamber에서 HF를 이용하여 Plasma를 생성할여 Deposition을 진행하는 공정의 경우 Wafer가 안착되는 Plate의 온도가 Shower Head 보다 일반적으로 높은 조건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HF의 주파수를 기존의 2배로 변경하게되면 Plasma의 밀도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다양한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온도 측면에서 Shower Head에 열전달 변화가 발생할까요?
저압에서 진행하는 공정 특성상 Plasma 온도변화가 Shower Head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할것으로 생각되는데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와 관련된 논문을 찾을 수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20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62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4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4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322 |
59 |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 430 |
58 | Plasma에 의한 분해 및 치환 반응(질문) [1] | 427 |
57 | 핵융합 질문 [1] | 420 |
56 |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 419 |
55 | magnetic substrate와 플라즈마 거동 [3] | 413 |
54 | 수중방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411 |
» | 주파수 변화와 Plasma 온도 연관성 [1] | 406 |
52 |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402 |
51 |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 402 |
50 |
진공수준에 따른 RF plasma 영향 관련 질문
[1] ![]() | 401 |
49 | OES를 이용한 Gas Species 정량적 분석 방법 [1] | 398 |
48 |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 396 |
47 | Chamber impedance 범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394 |
46 |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 393 |
45 | PDP 방전갭에 따른 휘도에 관해 질문드려요 [1] | 391 |
44 |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 390 |
43 |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 386 |
42 | Polymer Temp Etch [1] | 374 |
41 |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 374 |
40 | H-field 측정위치에 따른 H Field MAP 변화 관련 [1] | 363 |
VHF 를 쓰면 전자 가열이 심화됩니다. 다만 neutral 밀도 (즉 압력)이 높이면 그 가열 효과는 감쇄되나 neutral의 온도는 오를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RF 주파수가 증가시켜 전자 가열이 커지면 이로서 고밀도 플라즈마 형성이 가능하고, 벽으로 빠져나가는 전자 및 이온 속이 커지게 되니, 고밀도 플라즈마의 벽면의 온도는 오를 수 있습니다. 시편의 온도 증가도 같은 현상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