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플라즈마 응용분야

2004.06.19 16:09

관리자 조회 수:17776 추천:201

플라즈마 물리와 관련된 분야는실로 다양합니다.

플라즈마 물리의 연구 분야는 크게 핵융합 연구에 관련된 분야와 산업용 플라즈마 응용 분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물론 천체 플라즈마 연구도 있으나 현실 속으로 아직깊이 들어와 있지는 못합니다. 핵 융합은  대전의 기초과학지원 연구원(KBSI) 혹은 원자력연구원등에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순수한 플라즈마 물리의 지식이 요구됩니다. 안정된 분위기에서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훌륭한 연구소들이어서 이 분야를 전공한 후에 자신의 직장으로 삼을 만한 좋은 곳이라 생각됩니다.

다른 한 분야는 플라즈마를 산업에 이용하는 부분입니다. 플라즈마 상태를 요구하고 도구로 쓰는 많은 분야가 있습니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토치, 박막, 식각등의 반도체 소자 제조 회사, 액정 모니터를 만드는 회사등의 개발, 물질 표면 처리를 위한 연구등의 분야에서는 플라즈마를 전공한 연구원을 요구합니다. 또한 이런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회사에서도 플라즈마 전공자가 필요합니다. 위의 예로는 삼성전자/삼성SDI/현대반도체/LG-Phillips 및 PDP/LCD 사업부등이 이런 범주에 속하게 됩니다. 아울러 반도체 제조를 위한 국산 장비의 개발분야는 최근 급속히 발전되고 있어 이들 분야에서도 전공자들을 계속 요구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반도체 제조 장비는 대부분 일본/미국에서 수입되었으나 일부 장비에 대한 국산화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있어 밝은 미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플라즈마 응용분야는 많은 부분이 재료공학등의 분야와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때문에 물질 특성/재료에 관한 지식을 같이 쌓으면 향후 진로 선택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입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들어 플라즈마를 이용한 환경 처리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79] 74885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8737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224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669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8026
38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56
37 기판표면 번개모양 불량발생 [1] 354
36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file 350
35 RF Sputtering Target Issue [2] file 346
34 OES 파장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1] 343
33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340
32 PECVD Cleaning에서 Ar Gas의 역활 [1] 338
31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338
30 CCP RIE 플라즈마 밀도 [1] 319
29 Massbalance equation 에서 P(t) 유도과정 318
28 plasma striation 관련 문의 [1] file 314
27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file 314
26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312
25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287
24 self bias [1] 285
23 정전척의 chucking voltage 범위가 궁금합니다. [1] 282
22 챔버 시즈닝에 대한 플라즈마의 영향성 [1] 275
21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274
20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270
19 Self bias 내용 질문입니다. [1] 25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