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 bias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계십니다. Matching network에 직렬C 가 있음으로 M/N을 사용할 때 Blocking C는 필요없게 됩니다.
아울러 Insulator를 Electrode위에 놓은 상태라면 이 Insulator가 C 역할을 하게 됨으로 이때도 Blocking C가 없어도 self bias가 형성됩니다. 또한 대부분의 반응기에 전극들의 면적비가 상당합니다. 이유는 반응용기 자체를 접지 전극으로 생각학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 7578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70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7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806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360 |
78 | 플라즈마와 자기장의 상호작용 | 17589 |
77 | 플라즈마 온도 | 27123 |
76 | 진로상담 | 18124 |
75 | Faraday shielding & Screening effect | 18294 |
74 | DBD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 20161 |
73 | DBD plasma | 18047 |
72 | corona | 15861 |
71 | capacitively/inductively coupled plasma | 17725 |
70 | 형광등으로 부터 플라즈마의 이해 | 16986 |
69 | 플라즈마 쉬스 | 23821 |
68 | 박막 형성 | 15261 |
67 |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 17345 |
66 |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 19620 |
65 | In-flight plasma process | 15480 |
64 | MFC | 19289 |
63 |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 | 28809 |
62 | 산업용 플라즈마의 특성 | 15100 |
61 | 플라즈마 처리 | 16901 |
60 | 플라즈마내에서의 아킹 | 43618 |
59 | 우주 플라즈마 | 14776 |
이 현상을 다음과 같이 이해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A/B 양면을 갖는 capacitor에 한쪽 (A)에는 rf전압을 인가되고 다른 한쪽(B)에는 가벼운 전자와 무거운 이온들로 구성된 플라즈마가 있습나다. A에 인가된 전
압에 따라서 B면에도 위상차가 나지만 전압이 유도될 것 입니다. B면에 유도되는 전압에 따라서 표면과 접촉하던 플라즈마 내의 전자와 이온들이 거동을 시작하면 표면으로 흘러들어 올 것 입니다. 한 주기 내에서 볼때 양의 전위가 B에 유도되면 전자들이 음의 전위가 유도되면 이온들이 표면으로 입사 될 것입니다. 이때 전자의 유동도가 이온의 유동에 비해서 매우커서, 즉 질량차에 의해서 보다 많은수의 전자들이 B면에 축적되게 될 것이며 주기가 반복되면서 표면의 전위를 계속해서 음으로 낮추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하면 언제까지 표면이 음전위를 갖게 될 것인가 하는 질문이 남습니다. 앞의 과정이 계속되면 표면 음전위가 낮아짐으로써 무거운 이온들이 더욱 가속을 받아 속도가 빠르게 되고 반대로 전자들은 속도가 점차 늦어 지게 되면서, 속도와 밀도를 곱한 값 flux, 즉 표면으로 흘러들어오는 전자 전류의 크기와 이온전류의 크기가 같아지는 조건을 만족하게 됩니다. (이는 capacitor임으로 직접 전류가 흐를 수 없기때문에 표면에서의 총 전류값이 0이 되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합니다.) 이때 형성되는 B표면의 DC 전위를 Self Bias라 합니다. 따라서 insulator/혹은 semiconductor의 표면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느 이 방법이 가장 유효하여 반도체 제조에는 늘 사용되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