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박막 형성 [ICP와 MOCVD]

2004.06.21 15:10

관리자 조회 수:15358 추천:241

박막 형성

ICP장치에 관해서는 참고서적을 이용하시고 sputter(본란에서 설명을 하였습니다. 참고하기 바랍니다.)를 이용하여 상온 target에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은 가능합니다. 입히고자 하는 박막이나 시편의 성질에 따라서 시편의 온도를 조절해야 함은 당연할 것 입니다.
적절한 온도에서 박막이 잘 성장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도 이미 설명드린 바가 있습니다. 한가지 더 고려해야 할 것은 금속 박막
성장을 위한 방법으로 MOCVD방법이 있으니 이를 공부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MOCVD는 sputter로 가능하지 않은 금속 물질등
의 박막 성장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ICP에 관한 자료는 일단 다음 교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1. M.A. Lieberman & A.J.Lichtenberg "Principles of plasma discharges and material processing (1994,Jhon Wiley & Sons.Inc)
2. J.R.Roth, "Industrial Plasma Engineering : Vol.1 Principles" (1995,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324] 88998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2989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9673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71477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9618
149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18410
148 플라즈마의 어원 [Langmuir] 16417
147 확산펌프 [DP 변수 검토] 20633
146 플라즈마에 관하여 [플라즈마 기초] 19021
145 핵융합 발전에서 폐기물이 않나오는…. [처리와 재활용] 18638
144 플라즈마을 막는 옷의 소재는? [옷의 소재 표면 처리] 18622
143 스퍼터링시 시편 두께와 박막두께 [박막의 하전량 변화] [1] 21918
142 Plasma source type [CCP, ICP, TCP] 80170
141 플라즈마를 이용한 발광시스템에 관한 연구 [Plasma lamp] 17174
140 CCP의 electrod 재질 혼동 [PECVD와 화학물 코팅] 16605
139 PECVD에서 플라즈마 demage가 발생 조건 [쉬스와 플라즈마 밀도에 의한 damage] 30014
138 플라즈마 코팅 관하여 [PECVD와 화학물 코팅] 22186
137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20569
136 플라즈마가 불안정한대요.. [압력과 전력 조절] 24633
135 플라즈마 온도 질문+충돌 단면적 [전자의 에너지에 따른 충돌반응] 22097
134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플라즈마 부유 전위] 19780
133 DC SPT 문의 [절연체의 전위] 19761
132 ICP에 대하여 [DC glow 방전과 ICP 플라즈마 발생] 18295
131 SCCM 단위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Flow rate] 147789
130 Electrode의 역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이차전자의 방출과 스퍼터링] 17454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