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ttering 펄스바이어스 스퍼터링 답변

2004.06.19 16:00

관리자 조회 수:21930 추천:227

또 다시 스퍼터링에 관해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서 반갑습니다.
유사한 경험을 저희도 가지고 있읍니다. 유리라는 절연체 위에 박막을 입힐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되는데,  실제 플라즈마와 닿는 표면의 전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기판 홀더(또는 트레이)는 접지 전위이고, 절연체인 유리가 있고 그 위에 일정한 전위의 플라즈마가 있는 구조는 마치 콘덴서와 같은 구조가 됩니다. Q=C*V 의 식을 미분형으로 써서 시간에 따른 포텐셜의 변화를 계산한 것은 미국 R.P.I 그룹의 논문이 있으니 참조하십시오.(J. Vacuum Science and Technology A, 17(6), 3322 ) 저희는 이 현상을 측정하고 없애기 위한 연구를 한 적이 있읍니다. 기판에 일정한 펄스 바이어스를 인가하고 그 전압 파형의 변화를 플라즈마의 운전 조건에 따라서 구해보는 것이지요. 그러면 기판 표면에서 국부적인 방전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임계 주파수가 나옵니다. 플라즈마 공정 조건에 따라서 다르지만 공업적으로 그리 어렵지 않은 정도의 주파수대가 얻어집니다. 이 부분은 아직 저희가 정식 페이퍼 논문으로 발표를 하지 않아서 수치적으로는 언급하지는 않겠읍니다. 이번 미국진공학회때에 위의 R.P.I group에서도 와서 보더니 자기들도 저희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다만 반도체에서 층간 절연막위에 알루미늄을 입힐 때의 경우를 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또하나 언급하고 싶은 것은 대개의 직류 전원이 상당한 정도의 ripple voltage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Advanced Energy의 MDX, Pinnacle 등은 100kHz switching 기술을 사용하고 ripple이 약 5% 정도 되므로 13kW=600 V* 21.7A 를 사용하신다면 30V, 100kHz의 중주파수의 전원을 걸어준 것과 같읍니다. 이는 워크맨을 진짜 건전지로 들을때와 직류어댑터로 들을때 찌--- 하는 노이즈를 분명히 들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차이 입니다. 물론 ripple을 1% 미만 심지어는 0.01%까지도 낮출 수는 있지만 그럴러면 출력단의 커패시터 용량을 키워야 하고, 만일 아크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이 커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모두 방출해야 아크가 없어지므로 박막에 결함을 많이 초래하게 되지요.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사용하는 pulsed dc 전원은 이 점에서 절연체위에 박막을 입히는 경우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합니다만, 역시 기판에 일정한 주파수 이상의 교류를 가하여 쌓이는 전하를 제거함으로써 얻는 효과만을 못할 것입니다.
참고가 되셨기를 바라겠읍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65] 76542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20078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711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61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1697
723 ICP dry etch 장비에서 skin depth가 클수록 좋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1] 24295
722 [질문] ICP plasma 를 이용하여 증착에 사용하고 있는데요. [3] 24261
721 Dechucking 시 wafer 상의 전하 문제 24159
720 플라즈마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24120
719 self Bias voltage 23993
718 plasma and sheath, 플라즈마 크기 23959
717 플라즈마 쉬스 23922
716 Arcing 23743
715 N2 플라즈마 공정 시간에 따른 Etching rate의 변화 이유가 알고 싶어요 [2] 23720
714 플라즈마 물리학책을 읽고 싶습니다. 23426
713 광플라즈마(Photoplasma)라는 것이 있는가요? 23371
712 HVDC Current '0'으로 떨어지고, RF Bias Reflect (RF matching이 깨지는 현상) 발생 23317
711 CCP 방식에 Vdc 모니터링 궁금점. 23254
710 DC glow discharge 23227
709 고온플라즈마와 저온플라즈마 23102
708 No. of antenna coil turns for ICP 23079
707 입력전력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변화 (ICP/CCP) 23039
706 안녕하세요. O2 Plasma 관련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22931
705 CCP/ICP , E/H mode 22923
704 floating substrate 에서 sheath 형성 과정 의문점 [2] 22839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