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2021.07.09 14:56
안녕하세요. 반도체 관련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현재 공정이 완료된 텅스텐 재료에 대기압 플라즈마를 가하여 정전기 제거를 하고있습니다.
Ar gas를 이용하였으며 정전기 측정장비로 제거 되는 것 까지는 확인 되었습니다.
추가로 여쭤보고 싶은 부분이 정전기 제거 후에도 반영구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도 확인이 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를 찾아보아도 나오는 부분이 거의 없어서요.
O, N 라디칼들이 계면에서 어떠한 에너지 반응을 일으키는 건지. 텅스텐 표면에 어떤 결합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플라즈마를 통하여 정전기 방지가 유지되는 것이 어떠한 Process로 진행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고견 여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 73081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644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21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739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108 |
627 | ICP와 CCP는 단순히 플라즈마를 생서하는 방법인가요? [1] | 7608 |
626 | CCP 구조가 ICP 구조보다 Arcing 발생에 더 취약한가요? [3] | 2791 |
625 | ESC Dechuck과 관련하여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 [1] | 13485 |
624 |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897 |
623 | 전자 온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1] | 826 |
622 | RF 전류가 흐르는 Shower head를 TC로 온도 측정 할 때 [1] | 604 |
621 | CCP plasma에서 gap과 Pressure간의 상관관계 [1] | 1731 |
620 | 데포 중 RF VDC DROP 현상 [1] | 1313 |
619 | OES 분석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 893 |
618 | CF3의 wavelength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 500 |
617 | anode sheath 질문드립니다. [1] | 618 |
616 | 안녕하세요. Plasma etch rate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 541 |
» |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 490 |
614 | RF 케이블 발열 현상관련 문의 드립니다. | 1232 |
613 | CVD (CCP) 공정의 Chamber seasoning과 플라즈마 밀도 [1] | 1249 |
612 | 라디컬의 재결합 방지 [1] | 531 |
611 |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 1111 |
610 | PECVD와 RIE의 경계에 대해 [1] | 1050 |
609 |
전자 온도 구하기
[1] ![]() | 740 |
608 | 공정 진행 중 의도적인 섭동 효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247 |
플라즈마에서 가속 이온이 제공되고, 이로 인해 dangling bond 들이 많아지는 것을 가정해 볼 수 있겠습니다. 동시에 전자들도 입사되므로, 각 bond에 전하가 붙게 되고, 또한 radical 들도 결합이 되게 될 것입니다. 주로 산소와 질소 라디컬들이 잘 결합하겠습니다. 하지만
각 반응의 상수와 결합 과정 및 그 결합이 얼마나 강력한가, 즉 후속 반응이 존재하는 경우 잘 견딜 것인가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표면 과학을 전공하시는 분이 답을 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표면으로 전달되는 항목으로는
전자, 이온 (질량과 에너지), 화학 반응(라디컬) 과 UV가 동시에 제공됨을 참고하시고, 표면 반응 자료를 찾아 보시기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