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2019.03.20 09:00
안녕하십니까? 현재 CVD 장비 회사에 재직중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PECVD 를 이용한 SiNx 증착 test 중, 두께가 쌓을수록 굴절률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많은 고뇌를 하고 있습니다.
SiNx 증착에 사용되는 GAS 는 SiH4, Ar, H2, NH3, N2 총 5가지 입니다.
원하는 시간에 target 두께의 막은 얻지만, 굴절률이 점점 감소합니다.
(plasma 노출시간에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굴절률이 더더욱 감소합니다.)
쌓일수록 ETCHING 으로인해 박막이 porous 해질 수 있는지,
혹은 특별한 경우가 있는지 여쭙고자 질문드립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82] | 75015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8859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33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683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8287 |
63 | 터보펌프 에러관련 [1] | 1593 |
62 | RF FREUENCY 와 D/R 과의 상관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1592 |
61 | 플라즈마 에칭 과 표면처리 의 차이점 질문드립니다. [1] | 1575 |
60 | [RIE] reactive, non-reactive ion의 역할 [1] | 1535 |
59 | wafer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Er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 [1] | 1471 |
58 |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1427 |
57 |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 | 1319 |
56 | Ar plasma power/time [1] | 1316 |
55 | Pecvd 장비 공정 질문 [1] | 1304 |
54 | CVD품질과 RF Delivery power 관계 질문 [1] | 1295 |
53 | Depo시 RF 초기 Reflect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 1240 |
» | PECVD 증착에서 etching 관계 [1] | 1173 |
51 | PECVD 증착시 온도, 기판의 종류의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 1169 |
50 |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 1131 |
49 | [CVD] 막 증착 관련 질문입니다. [4] | 1125 |
48 | 부가적인 스퍼터링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1098 |
47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1056 |
46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55 |
45 |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 1047 |
44 | ICP, CCP 그리고 Ion Implantation 공정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 994 |
저는 증착 경험이 많지 않습니다. 아마도 국립철도대학의 김성룡교수님, 고려대학의 홍문표 교수님, 군산대학교의 주정훈교수님께 여쭤보시면 좋은 해석을 얻지 않을까 합니다. 답변을 얻게 되면 제게도 알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