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2004.06.25 16:44
te8500에서 금속재질의 four-pin으로 dechucking을 시키는 경우도 있구요...이것은 쉽구요...back면 acring만 제어해주면 됩니다.
저도 부도체 재질의 four-pin사용시 gas만으로 dechucking이 가능한지 궁금했습니다.
dechucking을 위해서 plasma을 생성시 원하지 않는 etch가 되기때문에 risk가 있습니다.
저희 교수님께 문의한 결과 고압에서 gas flow만으로도 충분히 wafer의 전하를 chamber wall 로 전달할수 있다고 하시던데요...
댓글 0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88] | 2910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4121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0053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1994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2] | 80718 |
560 | CCP 에서 Area effect(면적) ? | 20795 |
559 | ICP 플라즈마 매칭 문의 [2] | 20775 |
558 |
F/S (Faraday Shield)
![]() | 20762 |
557 | Breakdown에 대해 | 20732 |
556 | UBM 스퍼터링 장비로... [1] | 20651 |
555 |
IEDF EQP에 대한 답변
![]() | 20638 |
554 | ccp-icp | 20627 |
553 | plasma cleanning에 관하여.... | 20610 |
552 | 교재구입 | 20609 |
551 | RF plasma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20385 |
550 | Three body collision process | 20380 |
549 | Lissajous figure에 대하여.. | 20368 |
» |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 20336 |
547 | 확산펌프 | 20235 |
546 | 이온주입량에 대한 문의 | 20199 |
545 | Langmuir probe tip 재료 | 20187 |
544 |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 20169 |
543 |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 20093 |
542 | 안녕하세요. GS플라텍 지성훈입니다. [1] | 20062 |
541 |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19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