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최근 챔버내 Arcing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서 이 홈페이지에서 Arcing관련 댓글 및 게시글은 전부 읽어보고 이해하려 노력해보았습니다.

그런데도 제가 하려고하는 방향이 옳은지 확신이 들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먼저 source로는 상부의 MW와 하부 ESC쪽 RF를 사용하며 중진공상태에서 공정합니다.

저는 Arcing이 발생되는 원인 중 하나인 전하 축적이 예상되는 파트를 줄이려고 생각했습니다.

챔버내 부품 중 Ground가 되지않은 파트들이 전하축적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해서 이 파트들을 Ground처리를 하거나 파트의 재질을 세라믹 등 절연체로 변경하는 등의 방안을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Ground가 되어있지 않은 몇몇 부품들의 재질을 알아보니 Al재질이고 50um~80um정도로 Hard Anodizing이 된 부품들이었습니다.

구글링해보니 경질 아노다이징이 되어있는 Al의 절연파괴 전압은 1000V이상으로 이미 거의 절연체에 가까워서 이 몇몇 파트를 Ground처리를 한다고하여 Arcing이 개선될지 의문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Arcing이 발생된 파트는 Ground와 무관하게도 챔버내 전혀 다른 part 였기도 해서 제가 생각한 방안이 효과가 어느정도로 잇을지.... 교수님의 사견이 궁금해서 질의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73034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30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7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700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31
585 Decoupled Plasma 관련 질문입니다. [1] 851
584 플라즈마 임피던스와 Vpp가 관련이 있나요? [1] 2430
583 플라즈마 용어 질문드립니다 [1] 549
582 안녕하세요 교수님. ICP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473
581 ICP-RIE etch에 관해서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1] 764
580 플라즈마 이용 metal residue 제거방법 문의드립니다. [1] 581
579 RF 반사파와 이물과의 관계 [1] 798
578 타겟 임피던스 값과 균일도 문제 [1] 315
577 압력과 플라즈마 크기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1] 22048
576 Plasma arcing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869
575 Load position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2096
574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332
573 엘립소미터 측정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 745
572 플라즈마 기술관련 문의 드립니다 [1] 6342
571 ECR ion source에서 plasma가 켜지면 RF reflect가 심해집니다. [2] 615
570 Interlock 화면.mag overtemp의 의미 472
569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 개발 문의 件 [1] 856
568 연속 plasma 방전시 RF power drop 및 Reflect 발생 [1] 996
567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file 90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