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2022.03.24 15:39
안녕하십니까, 반도체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
최근 RIE 장비로 Etching test를 진행 중 궁금한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RIE 장비에서 Etching rate에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 dc-bias라고 알고 있습니다.
가스 유량, 압력, 그리고 power 심지어 reflected power 마저도 동일한데 dc-bias만 대략 70V나오던 것이 50V로 줄어드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혹시 이러한 간간히 일어나는 건가 싶어 질문남겨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
김곤호
2022.04.17 09:41
DC 바이어서 혹은 Self Bias 주제어로 검색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Self bias는 타킷이 가진 capacitor 성질에 따라서 표면에 플라즈마 전자들의 하전량에 의해 결정되게 됩니다. 여기서 cap 성질이라면 타킷의 양면, 즉 전력이 인가되는 chuck 표면의 전위와 타킷과 사이의 간극이 갖는 축전용량과 타킷 물질의 축전용량으로 크게 구성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wafer chucking 에서 큰 변화가 없고 bias 전압이 바뀌고 있다면 chucking 특성의 변화, 즉 wafer 간극의 변화에 의해 cap이 바뀐 상태가 아닌가 의심이 됩니다. 만일 간간이 이런일이 일어난다면 chucking 상태를 감시해 보는 것도 방법일 것 같고, 또는 chucking이 잘 되고 있는지의 판단 자료로서 활용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 75427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163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4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558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9368 |
628 | wafer 전하 소거: 경험 있습니다. | 20424 |
627 | 플라즈마 진단법에 대하여 [1] | 20397 |
626 | RIE장비 에서 WALL 과 TOP 온도 | 20343 |
625 | Langmuir probe tip 재료 | 20331 |
624 |
CCP형, 진공챔버 내에서의 플라즈마...
[1] ![]() | 20239 |
623 | 상압 플라즈마 방전에 관한 문의 [1] | 20236 |
622 | 안녕하세요. GS플라텍 지성훈입니다. [1] | 20208 |
621 | 형광등과 플라즈마 | 20158 |
620 | DBD플라즈마와 플라즈마 impedance | 20149 |
619 | Sputter 시에 Gas Reaction 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20139 |
618 |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1] | 20121 |
617 | 플라즈마 matching | 20041 |
616 | CCP의 Vp가 ICP의 Vp보다 높은 이유 | 19931 |
615 | 석영이 사용되는 이유? [1] | 19851 |
614 | 플라즈마 진동수와 전자온도 | 19831 |
613 | [질문] 석영 parts로인한 특성 이상 [1] | 19771 |
612 | PM을 한번 하시죠 | 19695 |
611 | 상압플라즈마에서 온도와의 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 19687 |
610 | 에쳐장비HF/LF 그라운드 관련 [1] | 19685 |
609 | DCMagnetron Sputter에서 (+)전원 인가시 | 196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