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ath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2018.02.01 14:20
늦었지만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문제되는 것이 있는데요, 최근 고객사 설비에서 PM 초기의 RF VDC 값이 높은 것 때문에 공정 불량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VDC 값은 양 극 사이(여기서는 STG HEATER 와 SHOWERHEAD 가 되겠지요)의 DC BIAS 크기와 관련이 있고 이것은
CH 의 CAP 값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틀렸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그렇다면 cap 값이 커질수록 vdc 값이 작아지므로 결국 유전율이 커질수록, 전극 사이 거리가 짧아질수록 vdc 값은 작아진다... 이렇게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전극 사이의 거리는 막질이 아무리 쌓인다 한들 수 micro 수준이므로 의미가 없다고 보면 vdc 값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ㅗheater 와 showerhead 사이의 유전율을 크게 하는 것 밖에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문의드립니다.
1) 위에 제가 쓴 내용이 맞는지요? 유전율이 커질수록, 전극 사이 거리가 짧아질수록 vdc 값이 작아지는 건가요?
2) 유전율을 크게 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플라즈마 gas 의 양, 압력 등등 precoating 조건을 바꿔서 유전율을 크게 할 수 있을까요?
3) 그 외 vdc 값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다시 한 번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43] | 590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357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3179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113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5203 |
185 | CVD 막질의 성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 818 |
» | 아래 382 번 질문에 대한 추가 질문 드립니다. [1] | 843 |
183 | 플라즈마 기초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 853 |
182 | DC Plasma 전자 방출 메커니즘 | 867 |
181 | wafer bias [1] | 878 |
180 | Edge ring과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 [1] | 885 |
179 | 플라즈마 입자 운동 원리(전자기장에서) [1] | 931 |
178 | low pressure 영역에서 아킹이 더 쉽게 발생하는 이유에 관해 문의드립니댜. [1] | 936 |
177 | RF 전압과 압력의 영향? [1] | 960 |
176 | 플라즈마 코팅 [1] | 968 |
175 | Group Delay 문의드립니다. [1] | 981 |
174 | LF Power에의한 Ion Bombardment [2] | 986 |
173 | 쉬쓰 천이지역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1003 |
172 | glow 방전 현상과 플라즈마 현상에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2] | 1008 |
171 | 플라즈마에서 가속 전압 또는 RF 파워 관련 질문드려요. [1] | 1027 |
170 | 자기 거울에 관하여 | 1040 |
169 | 플라즈마의 직진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 1068 |
168 | 플라즈마 기초입니다 [1] | 1130 |
167 | CVD (CCP) 공정의 Chamber seasoning과 플라즈마 밀도 [1] | 1144 |
166 | O2 plasma etching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 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