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질문글에 댓글이 달리지 않아 새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질문 글의 어디가 틀렸고 어디가 맞았는지 꼼꼼하게 짚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답변해 주신 글을 읽다 보니 더 질문점이 생겨서 댓글 작성합니다.

 

 

1) 비충돌성 쉬스와 충돌성 쉬스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 MFP(Lamda)와 CCP 반응기 두 극판 사이의 거리(l) 비교 : Lamda << l
- MFP(Lamda)와 쉬스 두께 비교 : Lamda << Sheath Thickness

 

 

 

2) 이전 질문글의 답변에 Ar의 MFP를 0.01~0.005 mm 라고 답변해 주셨는데 어떻게 계산 된건지 궁금합니다.


MFP(Lamda)를 구하는 공식을 다음과 같이 알고 있습니다.

 

Lamda = 1 / (N_g * Sigma)
N_g = (n * N_A) / V = P * N_A / (R * T)

 

N_g : 단위 부피 당 원자 수
Sigma : Ar의 Cross section
n : 몰 수
N_A : 아보가드로 수
V : 부피
P : 압력 = 2000 mTorr
R : 기체상수 = 62.363 m^3*mTorr/(K*mol)
T : 온도 = 673 K

 

위 값들을 대입하여

 

N_g = 2.87*10^22 m^-3

 

이 나왔습니다.

 

2T 및 5T의 공정에서 Vrms는 113ev 수준으로 비슷했고 따라서

 

http://plasma.kisti.re.kr/index.jsp 에서 Ar의 Total Ionization Cross section, Total Scattering Cross section 중 에너지가 110ev 즈음의 산란 단면적을 찾아봤습니다.

 

Ionization 2.5*10^-16 cm^2 = 2.5*10^-20 m^2
Scattering 8*10^-16 cm^2 = 8*10^-20 m^2
Excitation 0.7*10^-16 cm^2 = 0.7*10^-20 m^2

 

위 산란 단면적을 모두 합하여 Sigma 값을 구했고 이 값을 아래 식에 대입하니

 

Lamda = 1 / (N_g * Sigma) = 0.00031 m = 0.31 mm

 

0.31 mm이 나오게 됩니다.

 

이전 질문 글에서 Vrms의 정량적인 값이 제시되지 않아 산란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값을 대입하셨나 싶어

전자 에너지 15ev의 산란 단면적을 모두 더하여 계산하니 2Torr 기준 0.145 mm 였습니다.

상기 계산 중 어느 부분에 오류가 있는건가요?

 

항상 큰 도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7305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3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711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68
228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405
227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406
226 플라즈마 진단 공부중 질문 [1] 406
225 (PAP)plasma absorption probe관련 질문 [1] 415
224 간단한 질문 몇개드립니다. [1] 431
223 Co-relation between RF Forward power and Vpp [2] 434
222 전쉬스에 대한 간단한 질문 [1] 453
221 프리쉬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1] 470
220 Frequnecy에 따라 플라즈마 영역이 달라질까요? [1] 474
219 수중 속 저온 플라즈마 방전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file 484
218 플라즈마를 통한 정전기 제거관련. [1] 487
217 Hollow Cathode glow Discharge 실험 관련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1] file 511
216 RF magnetron sputtering시 플라즈마 off현상 [1] 512
215 Shield 및 housing은 ground 와 floating 중 어떤게 더 좋은지요 [2] 529
214 Ion과 Radical의 이동 거리 및 거리에 따른 농도와 증착 품질 관련 [1] 544
213 플라즈마 용어 질문드립니다 [1] 552
212 안녕하세요. 플라즈마 기체분자종에 따른 기판charing정도차이 문의 [1] 583
211 잔류시간 Residence Time에 대해 [1] 600
210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1] 603
209 플라즈마용사코팅에서의 carrier gas [1] 638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