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self bias에 대해 이해한 바는,

"RF를 가해주면,전자와 양이온의 이동도 차이로 인해 양 전극에 모두 self bias가 나타난다. 두 전극의 면적이 동일하면 같은 크기의 self bias가 생겨 전위가 같아져 어느 한쪽이 음극의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면적조절,capacitor연결,접지 등의 방법으로 한 쪽의 self bias크기를 키워 한쪽 전극을 음극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입니다.

혹시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 한번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헷갈리는 부분은

교수님께서는 "이때의 표면 전위는 충전에 의한 전위 (전압)으로 인가된 전원 전압(RF)의 DC shift 값을 의미하게 되며, 플라즈마와 만나는 전극의 DC shift 전압을 스스로 결정이 되는 값으로서 selfbias 값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모든 전극면에는 DC shift 전압이 만들어집니다."라고 설명해주셨으나, 교육에서는 두 전극의 크기가 같고 조건이 동일하다면, self bias가 형성되지 않는다. 라고 하였습니다.  제가 교수님 말씀을 이해한 바로는 두 전극의 면적이 동일하더라도 양 전극에 크기가 같은 self bias가 생기는 것이라고 이해했기 때문입니다.

하여 두 내용이 조금 모순되는 부분인 것 같아 제가 개념을 잘못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5] 75776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464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675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8045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90348
248 RF 주파수에 따른 차이점 [1] 340
247 Arcing 과 Self-DC Bias Voltage 상관 관계 [1] 350
246 plasma modeling 관련 질문 [1] 355
245 입자에너지에따른 궤도전자와 핵의 에너지loss rate file 363
244 염소발생 전기분해 시 스파크 발생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file 374
243 안녕하세요. 자문을 구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1] file 383
242 스퍼터링 Dep. 두께 감소 관련 문의사항 [1] 392
241 VPS 공정에서 압력변수관련 질문입니다. [1] 405
240 크룩수의 음극선도 플라즈마의 현상인가요? [1] 411
239 Plasma Reflect를 관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 422
238 KM 모델의 해석에 관한 질문 [1] 423
237 Fluoride 스퍼터링 시 안전과 관련되어 질문 [1] 425
236 glass에 air plasma 후 반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426
235 안녕하세요 DBD 플라즈마 소독 관련질문입니다. [1] 427
234 플라즈마 세정처리한 PCB, Lead Frame 재활용 방법 [1] 429
233 자외선 세기와 결합에너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435
232 plasma 공정 중 색변화 [1] 435
231 self bias [1] 444
230 코로나 방전 처리 장비 문의드립니다. [1] 445
229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질문입니다... 455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