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최근 반도체 증착장비에 대해 공부하다 플라즈마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남깁니다.
 
스퍼터링법에서 플라즈마 발생 원리는 챔버내에 가스를 주입하고 타겟(도체)에다 DC전원으로 음전압을 가해주어 타겟이 음극이 되게되고
 
음극이 된 타겟에서 전자들이 튀어나와 가스들과 충돌하고 가스들이 전자의 에너지를 받아 이온화가 되어 양이온과 전자로 나눠지게 되는 플라즈마 상태가 형성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체인 타겟말고 부도체인 타겟을 사용하게 될때는 DC말고  RF파워를 사용을 한다고 하는데
 
타겟이 도체인 경우 음전압을 가해주면 전자의 이동이 쉬워 음극이 되게되고 이 음극이 된 타겟에서 전자들이 나와 가스와 충돌하여 플라즈마가 되는데
 
타겟이 부도체인경우 RF파워로 음전압 가해주어도 전자의 이동이 쉽지가 않으니 음극이 되지 않아 전자가 방출이 되지 않아서 플라즈마가
 
생성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이 되는데 어떻게 해서 타겟이 부도체인데 플라즈마가 형성이 되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60] 73031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7616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5516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5696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6027
147 플라즈마 self bias 값과 압력, 파워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1852
146 plasma etching을 관련 문의드립니다. [1] 1866
145 질문있습니다. [1] 1932
144 RF Power와 균일도 연관성 질문드립니다. [2] 1968
143 플라즈마볼 제작시 [1] file 2009
142 양극 코로나 방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1] 2041
» 부도체를 타겟으로 한 플라즈마 형성 원리 [1] 2094
140 RF frequency와 다른 변수 상관관계 질문 2171
139 플라즈마 세라믹코팅후 붉은 이유는? 2209
138 PE 모드와 RIE 모드에서 쉬스 구역에 대한 질문 [1] 2279
137 plasma sheath 두께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2467
136 플라즈마 압력에 대하여 [1] 2576
135 진공장치 챔버내 산소 또는 수분 제거 방법에 대해 [1] 2616
134 electron energy distribution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2633
133 Gas 별 Plasma 색 관련 질문입니다. [1] 2743
132 코로나 방전의 속도에 관하여... [1] 2832
131 Bias 관련 질문 드립니다. [1] 2864
130 Descum 관련 문의 사항. [1] 2938
129 아르곤이나 기타 플라즈마 토치에 소량의 수증기를 집어넣으면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에 대해서 3109
128 ICP plasma에서 RF bias에 대한 문의가 있습니다 [2] 317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