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te Plasma Remote Plasma에서 Baffle 재질에 따른 Plasma 특성 차이 [플라즈마의 유지와 쉬스]
2013.01.03 12:11
안녕하세요?
Remote Plasma에서 Baffle 재질에 따른 Plasma 특성이 차이가 나서 문의 드립니다.
우선 장치 구조를 말씀드리면, 상부에 Plasma Source (O2/N2 방전)가 있고,
아래쪽에 Chuck이 있고 그 중간에 Baffle이 있습니다.
Baffle의 두께는 4T이고 Baffle에는 2~3파이 홀이 약 1500개쯤 구성되어 있습니다.
Remote Plasma 특성 상 Bias power는 인가하지 않습니다.
현재는 Baffle의 재질을 Aluminum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여러가지 문제로 이번에 Aluminum에 W(Tungsten)을 코팅하여
실험을 해 보았는데 2가지 특성이 확연히 다르게 나타나서 문의 드립니다.
Aluminum Baffle에서 방전했을 경우 View port를 보았을 때 Baffle 하단 Chuck까지
매우 밝은 Intensity를 보이고 이에 따른 특성 Etch Rate도 높게 나오는 특성을 보였
습니다.
반면에 W Baffle 장착하여 방전했을 경우 본 Baffle 하단으로 Plasma가 완전히 차단
되어 어두운 특성을 확연히 보이고 Etch Rate도 50% 감소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두 재질의 Roughness 특성의 차이도 있기 하겠지만 가장 큰 것은
두 재료의 전기전도도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지는데요
Alumium: 0.00000399 ohm-cm
W: 0.00000565 ohm-cm
위에서 보시다 시피 저항에 따른 문제라고 생각이 됩니다만,
혼란스러운 것은 예전에 Ag도 코팅해 본적이 있는데 현재의 W보다 더 Plasma가
완전히 차단되는 특성을 보였었습니다.
실제 수치상으로는 W의 저항이 Aluminum보다는 더 높지만 코팅함에 있어 P가 약 10%
가 들어가면서 전기전도도를 높여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나 추즉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점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재질이 Plasma 공간에 위치했을 때
왜 더 하전 입자를 잘 제거하는지가 궁금합니다.
혹시 이것을 설명할 만한 수식이나 아니면 모델링이라도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생각에는 오히려 저항성이 높은 재질을 쓸 때 홀 주위에 하전입자들이 Floating되어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Repelling시킬 것 같은데, 오히려 저항이 높은 재질에서
더 Plasma가 잘 내려오고 있어서 제가 모르는 다른이유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한가지 더 모델링을 하자면 Alumium보다 W의 전기음성도가 높아서 Baffle Hole로빠지는
Plasma 하전 입자들이 Baffle Hole 면에서 족족 결합하기 때문에 그런게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플라즈마 유지를 고려함에 있어 공간 반응과 벽면 반응을 구분하곤 합니다. 특히 표면에서의 반응에서 표면 재료의 화학반응은 플라즈마의 손실에 중요한 인자이므로 생성 플라즈마와 표면 재료 (원자등)과의 반응율에 대한 고려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2. 플라즈마가 벽면으로 빠져나갈 때의 현상을 이해하려면 쉬스 현상을 고려하는 것이 좋겠으니 이를 참고해 보시면 플라즈마와 만나는 재료의 전기전도도가 영향을 미치게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쉬스의 크기는 전극면과 플라즈마와의 전위차 (여기서는 접지 전극앞에 형성된 부유전위 크기가 됩니다)에 비례하여 커집니다.
3. 홀에서 플라즈마가 잘 투과해서 나왔다면 홀 주변에 형성된 쉬스 크기가 작은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재질에 따라서 baffle 아랫단에서의 플라즈마 양의 변화가 관측되었다면 이는 홀 주변에 형성된 쉬스의 크기에 따라 플라즈마가 내려올 수 있는 단면적의 차이가 생겼다고 유추해 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