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2020.05.06 15:46
안녕하세요. 이제 막 반도체 수업을 듣기시작한 학생입니다. 한 질문에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4인치 웨이퍼 기준 100nm 두께로 구리 등 금속 박막을 대량으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인 부분이었습니다.
이때 제 생각으로는 CVD공정이 가장 적합한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하면서도 각 공정마다 장단점이 있어 헷갈립니다.
PVD의 경우 증착속도가 느리고, ALD의 경우 낮은생산 성 등..
어떠한 공정이 가장 적합한 공정이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158] | 72996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7585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5512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5686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86013 |
55 | ICP와 CCP의 차이 [3] | 11429 |
54 | 플라즈마 절단기에서 발생 플라즈마 | 14672 |
53 | 산업용 플라즈마 내에서 particle의 형성 | 14935 |
52 | 박막 형성 | 15187 |
51 |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표면개질에 관해 [1] | 15519 |
50 | Ar fraction에 따른 Plasma 특성 질문입니다. [1] | 15650 |
49 | Sputter | 15679 |
48 | 안녕하세요 반도체 공정 중 용어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1] | 15733 |
47 | 몇가지 질문있습니다 | 16539 |
46 | nodule의 형성원인 | 16603 |
45 | ICP 식각에 대하여... | 16729 |
44 | sputter | 16775 |
43 | 플라즈마 처리 | 16833 |
» | 질문있습니다 교수님 [1] | 17030 |
41 | [re] H2/O2 혼합 플라즈마에 관련 질문 입니다. | 17088 |
40 | OLED에서 SF6와 CF4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1] | 17113 |
39 | 스퍼터링 후 시편표면에 전류가 흘렀던 흔적 | 17369 |
38 | 교육 기관 문의 | 17729 |
37 | 플라즈마 응용분야 | 17753 |
36 | Splash 발생 및 감소 방안은 없는지요? | 17917 |
박막 관련해서는 군산대학교 주정훈교수님께 문의드려 보세요. 속시원한 답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