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후공정 기업에서 Sputtering 공정을 관리하는 신입 엔지니어입니다.

 

일을 배우며, 전공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나,

이론적으로 알려주는 선배들이 없어 교수님 도움 받고자 질문글 남깁니다.

 

저희는 박막 증착 전, 표면적을 넓혀 adhesion을 높이기 위해,

Ar Plasma Etching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허나, 표면이 Metal 혹은 Si 일 경우, Ar Plasma Etching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쇼트가 날 수 있어, 진행하면 안된다."라고는 들었는데,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제가 세운 가설은 Etching된 Metal (혹은 Si) 이 Sheild에 증착되어,

Wafer와 닿을 정도로 성장해 접지가 되어 plasma의 지속이 멈추는 것입니다.

 

교수님, 제가 이해한 것이 맞을까요?

도움 부탁 드립니다.

 

+Plasma type은 ICP(RF)이며, Ar gas로만 plasma 형성합니다.

또한, Quartz Chamber 사용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20] 75427
공지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19163
공지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56479
공지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67558
공지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89368
64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2 74
63 GWP(Global warming potential)에 따른 Etch gas 변화에 대한 질문 [1] 80
62 RIE Gas 질문 하나 드려도될까요? [1] 85
61 RIE 설비 관련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1] 127
60 메틸기의 플라즈마 에칭 반응 메커니즘 [1] 138
59 center to edge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1] 139
58 remote plasma 를 이용한 SiO2 etching 질문드립니다. [1] 155
57 애칭 후 부산물의 양을 알고 싶습니다. [1] 227
56 RIE 식각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예측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해 질문하고싶습니다. [1] 249
55 텅스텐 Plasma Cleaning 효율 불량 [1] 251
54 AlCu Dry Etch시 Dust 잔존문제 320
53 ICP Dry Etch 설비 DC bias Hunting 관련 질문드립니다. [1] 400
52 Chamber 내 Pressure와 Fluid Density, Residence Time 거동 [1] file 406
51 Polymer Temp Etch [1] 498
50 [재질문]에칭에 필요한 플라즈마 가스 [1] 509
49 플라즈마 샘플 위치 헷갈림 [1] 545
» Si 표면에 Ar Plasma Etching하면 안되는 이유 [1] 599
47 Sticking coefficient 관련 질문입니다. [1] 701
46 RIE 공정시에 형성되는 두 효과를 분리해 보고 싶습니다. [1] 775
45 etch defect 관련 질문드립니다 [1] 837

Boards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