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 DRY Etcher Alra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2018.11.28 12:00
안녕하십니까
저는 DRY Etch 하부 정전척(ESC) 세정/재생 업체에 다니고 있는 최균호 라고 합니다.
고객사에 납품하여 Run중인 ESC에서 He Flow라는 알람이 자주 발생하여 문의 드립니다.
상부 Glass면과 ESC 사이에 Cooling을 위한 He Gas를 공급하는데
공급 과정 중 He Pressure의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는 것이 He Alaram 입니다.
He Flow 발생품 입고 검사 시 Glass를 안착시키는 Dam부 및 Cooling 면의 외관적인 문제점은 존재 하지 않고
전기적인 특성조차 큰 특이점을 찾아 볼 수 없습니다.
고객사 측에서도 뚜렷한 원인은 알 수 없다고 하네요.
Cooling Gas Flow (Gas Leak) 발생 원인이 대체로 무엇인지,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가지고 계신다면
알려 주실 수 있을까요?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필독] QnA 글 작성을 위한 권한 안내 [233] | 75734 |
공지 | Q&A 검색 길잡이 – 내게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게 찾는 방법 | 19418 |
공지 | 개인정보 노출 주의 부탁드립니다. | 56647 |
공지 | kr 입자 조사에 의한 Cu 스퍼터링 에너지 및 이탈 속도 분포 함수 | 67965 |
공지 | 질문하실 때 실명을 사용하여주세요. [3] | 90141 |
44 | RIE 장비 사용 중 dc-bias의 감소 [1] | 934 |
43 | Vacuum Chamber(Etching) 내에서 열의 이동과 Byproduct 이동과의 관계. [2] | 967 |
42 |
O2 etch 후 polymer 변성에 관한 문의
![]() | 1071 |
41 | 텅스텐 Etch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 1076 |
40 | 안녕하세요 텅스텐 에치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 1094 |
39 | 챔버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 [1] | 1110 |
38 | Plasma etch관련 질문이 드립니다. [1] | 1153 |
37 | Matcher의 효율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 1249 |
36 |
poly식각을 위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 | 1359 |
35 | Al Dry Etch 후 잔류 Cl 이온 제어를 위한 후처리 방법 [1] | 1548 |
34 | wafer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Er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 [1] | 1643 |
33 | 터보펌프 에러관련 [1] | 1670 |
32 | 압력, 유량과 residence tim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 1691 |
31 | 식각 시 나타나는 micro-trench 문제 [1] | 1749 |
30 | doping type에 따른 ER 차이 [1] | 1938 |
» | DRY Etcher Alram : He Flow 관점 문의 드립니다. [1] | 2016 |
28 | Dry etch 할때 센터와 사이드 etch rate [1] | 2055 |
27 | [RIE] reactive, non-reactive ion의 역할 [1] | 2099 |
26 | etching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2113 |
25 | Etch공정(PE mode) Vpp 변동관련. [1] | 2196 |
정전척에서 helium은 wafer cooling 용으로 사용이 됩니다. 열전도도가 매우 좋은 가스 (0.1513 W/(mK)이자, 불활성 가스로 화학 반응을 적게 하기 때문입니다. 원소가 작아서 leak를 차즌 detector에도 사용하는 가스이므로, 반대로 leak.가 잘 생길 여지가 큽니다. 대부분의 정전척은 플라즈마 전하가 쌓이고 빠지는 곳으로 전하기 쌓이면 높은 표면 전압을 형성하고 이는 국부적으로 방전을 일으킵니다. 대부분 스트리머 형태의 코로나 방전으로 지속되면 아크 방전으로 변해서, 아크가 튀었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O ring 결합 부 근처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였다면, leak 원인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재조립시 leak detect를 하는 방법을 추가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아마도 현업에서는 보다 다양한 leak 원인이 있을 것입니다. 현업에서의 경험과 대응책을 본 란에서 공유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